“저학력·저소득층 많은 곳일수록 기대수명 낮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기사 이미지

강영호(48·사진)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연구소장은 “저학력·저소득층이 많은 지역일수록 기대수명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러한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전국 17개 광역단체와 252개 시·군·구별 소득수준에 따른 기대수명을 처음 분석했다. 다음은 강 교수와의 일문일답.

지역 소득별 수명 분석 강영호 교수
“건강한 노동·여가 환경 만들어야”

 - 지자체의 소득별 기대수명 분석을 하게 된 이유는.

 “정부는 건강수명(건강하게 사는 수명) 연장과 건강 불평등 해소를 목표로 국민 건강증진 정책을 펴고 있다. 한데 그간 지역별 건강 불평등 현황을 보여 줄 지표가 없었다.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지역은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수명 격차가 다섯 살 정도 나고,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론 열 살 차이가 난다’는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10년간 노력해 격차를 20% 줄이겠다’는 식의 구체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다.”

 - 지역 간에 기대수명 차이가 왜 벌어지는 건가.

 “기대수명이 높은 지역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요인을 찾을 수 있다. 하나는 지역 자체가 장수하기에 유리한 환경이란 점이다. 공기가 맑고, 운동하러 다닐 공원이 있고, 좋은 병원이 많아 의료기관 접근성도 있고, 아이들을 기르기에 안전하고, 도로 정비가 잘돼 교통사고가 드물게 발생하는 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다른 지역보다 고소득층, 고학력, 좋은 직업을 가진 구성원이 몰려 사는 경향이 있다. 통계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기대수명이 높게 나타나는데 그런 사람이 많이 살면 그 지역 전체 기대수명이 올라간다. 환경이 좋으니까 잘사는 사람이 모이면서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그럼 기대수명이 가장 높게 나온 용인시 수지구에 살던 사람이 기대수명이 가장 낮은 전남 해남군으로 이사를 가면 수명이 짧아지나.

 “그렇지는 않다. 수지에 살던 사람이 해남으로 이사를 간다고 해서 사망률이 높아진다면 어떤 지역에 사는 것만으로도 건강에 이롭거나 해로운 영향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를 그렇게 단순하게 해석하면 안 된다. 지역 자체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지만 소득 등 구성원의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지역별·소득수준별 수명 차이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담배나 술을 끊고 싶어도 심한 감정노동에 시달려 못 끊는 사람도 있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질 수 있는 노동환경이나 여가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