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의 스마트 팜 확대 정책, 2017년까지 비닐하우스 4000㏊ 축산농가 700호 추가 보급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국내 농업환경은 고령화로 한계에 직면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2000년 21.7%에서 2014년 39.1%로 급증했다. 정부는 이 비중이 올해 40%를 돌파할 것으로 추정한다. 전문가들은 이 추세라면 머지않아 농촌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정부는 스마트 팜 확대를 서두르고 있다. 스마트 팜이 고령화하고 있는 국내 농촌을 살릴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 팜을 확대 보급하면 우리 농가의 약점인 고령화, 일손 부족 문제를 극복하고 자본·기술 집약적인 미래농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2017년까지 참외·수박·파프리카·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시설원예) 시설 현대화 면적의 40%인 4000㏊에 스마트 팜을 적용할 계획이다. 축산농가는 전업농 규모의 10% 수준인 700호, 과수농가는 과원 규모화 농가의 25% 정도인 610호에 보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246억원이었던 예산을 내년엔 454억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스마트 팜으로 전환하고 싶은 농가는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신청하면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이해 수준과 필요 시설 등을 조언받게 된다. 이후 정부의 스마트 팜 확대 농가로 선정되면 참여 기업을 통해 필요 시설에 대한 견적을 받고 정부 지원금을 받아 사업을 추진하면 된다.

ICT 전문 농업인 8000명 육성

한편 정부는 스마트 팜 보급과 함께 ‘한국형’ 스마트 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참외·수박 재배용 단동간편형 모델은 지난 6월 개발돼 실험 중이다. 또 딸기·오이 재배용 연동 복합형 모델은 올 하반기까지, 토마토 등에 알맞은 수출첨단형 모델은 내년까지 각각 개발하기로 했다.

스마트 팜 전문인력 육성, 농가 실습교육, 사후 관리 등을 통해 스마트 팜 운영 농가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현장 지원도 강화한다. 2017년까지 ICT 전문 농업인 8000명, 현장 스마트 팜 지도인력 200명, 전문 컨설턴트 120명을 각각 육성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과 도재규 주무관은 “각 도 농업기술원에 마련된 권역별 현장지원센터 8곳을 통해 수준별 체험형 실습교육을 진행 중”이라며 “농가에서 스마트 팜을 십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