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 말은 다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사 이미지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취임 후 처음으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했다. 두 정상은 올해가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기 위해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했다. [박종근 기자]

2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은 100분에서 2분이 모자랐다. 단독 정상회담 60분, 확대 정상회담 38분을 했다.

한·일 정상 "조기 타결 위해 협의 가속화" … 아베 귀국 후 "합의 땐 더 문제제기 말아야"
박 대통령, 아베와 98분 회담
"양국 관계개선 최대 걸림돌
한국민 납득할 수준 해결을"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결과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올해가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이라는 전환점에 해당되는 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가능한 한 조기에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도 회담 직후 일본 기자들과 만나 “될 수 있는 대로 조기 타결을 목표로 교섭을 가속화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3년6개월 만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솔직하고 진지했다”며 “결과 브리핑이 짧은 건 이런저런 말을 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아베 총리는 일본으로 귀국한 뒤 이날 밤 BS후지TV에 출연해 “군 위안부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면서도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해) 양국 국민이 완전히 납득하는 것은 어렵다. 그 와중에 협상을 진행해 일치점을 찾는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했다.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아베 총리는 한국의 입장이 정권이 바뀌면 변한다는 이른바 ‘골대 이동론’에 대한 질문에 “서로 합의하면 다음에는 이 문제를 다시 제기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가 양국 관계 개선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 문제가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김 수석이 전했다.

 경제 분야에선 상대적으로 성과가 있었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국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 결정을 내릴 경우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에서의 협력 관계를 이어가길 기대한다”고 했고, 아베 총리는 “한국 측의 TPP 참여 검토 동향을 관심 있게 보고 있다”고 답했다. 양국은 고위급 협의회도 만들기로 했다.

 한편 아베 총리는 일본 기자들에게 “한·일·중 정상회의는 획기적인 일”이라며 “내년에 일본에서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신용호 기자, 도쿄=오영환 특파원 novae@joongang.co.kr
사진=박종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