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박 대통령 "동북아 평화협력의 새시대 열면서 상호 신뢰강화하는 이정표 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오늘 3국 정상회의가 3국 협력의 새로운 도약과 동북아 평화협력의 새 시대를 열면서 상호 신뢰를 강화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와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가진 자리에서 “이번 3국 정상회의는 2012년 5월 베이징에서 제5차 회의를 가진 이후 3년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로 세 나라의 정상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인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오늘 정상회의의 성과를 세 나라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도록 3국 간 실질협력 강화에 많은 합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정상회의가 한·일·중 3국을 넘어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에 한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성장의 견인차라고 할 수 있는 동북아에서 경제적 상호의존이 빠르게 심화되고 있지만 정치안보 측면의 갈등과 반복을 가져오는 문제들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어서 무한한 협력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며 “오늘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협력을 정상화해서 협력의 장애물과 도전요소를 함께 극복하고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여 동북아에서 평화와 협력의 질서를 세워나가기를 기대한다”고 거듭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일·한·중 3국은 지역의 평화와 번영의 큰 책임을 공유하고 있다”며 “따라서 모든 차원에서의 대화와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일본으로서 일·한·중 정상회의의 조기 개최를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박 대통령께서 주도를 해 3년 반 만에 일·한·중 정상회의가 개최된 것을 정말 좋게 생각한다”며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인 연관성을 갖는 우리 3국은 지금까지 재난방지, 그리고 환경, 청소년 교류 등 폭넓은 분야에서 꾸준한 협력을 계속해 왔다. 오늘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협력을 총괄하면서 박 대통령, 리커창 총리와 함께 우리 세 정상부터 정치적인 모멘텀, 추진력을 부여하면서 3국 협력의 새로운 걸음을 내딛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이번 정상회의 개최로 인하여 일·한·중 프로세스는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갔다”며 “정상회의 정례적 개최로 회귀된 것을 일본으로서 지지하겠다”고 했다.

리커창 총리도 “3국은 3년 동안 나타나는 우여곡절과 어려움에 의해 3년 동안 정체했다”며 “박 대통령과 한국 정부가 의장국으로서 3국 협력을 유치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기여를 해 주신 데 대해서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협력은 타당하게, 역사를 비롯한 민감한 문제를 처리하는 토대 위에서, 동아시아 지역이 서로 이해 증진하는 토대 위에서 이루는 것”이라며 “불행히도 우리는 이렇게 가까운 세 나라인데 일부 국가들 간에 더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해를 증진시키고 진정한 포용, 관용을 실현하고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과 번영을 위해서 기여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신용호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