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 요약 ⑮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50호 1 면

길림성 정협문사자료위원회 등에서 편찬한 『길림조선족』(1994)은 청나라 장봉대의 『장백회정록』(1909)을 인용해 “광해군 때 강홍립의 조선군이 청나라에 투항한 이후부터 조선 사람들이 동북(만주)에서 살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고종 6년(1869)과 7년 한반도 북부에 대흉년이 들면서 만주 지역을 개간하는 조선 백성은 크게 늘어났다. 그러면서 만주 지역이 조선 영토라는 자각도 생겨났다. 대한제국은 고종 40년(1903) 간도시찰관 이범윤(李範允)을 북간도(北墾島) 관리(管理)로 삼고 서간도를 평안북도에, 동간도(북간도)를 함경도에 편입해 상주시켰다. 또 간도 백성들은 대한제국에 세금을 납부했다. 그러나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강탈한 일제는 1909년 9월 간도에 관한 청일협약을 맺어 남만주철도 부설권을 얻는 대신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주고 말았다. 청·일 두 나라의 야합과는 별도로 만주 지역의 유이민은 계속 늘어났다. 『최근간도사정』은 북간도(동간도)의 이주 한인이 1921년에 30만7806명, 1924년에 55만7506명이라고 전하고 있다. 1920년 50만 명에 달했던 만주 지역 한인들은 만주를 독립운동 근거지로 만든 토양이었다. 이 토양에서 참의부(參議府)·정의부(正義府)·신민부(新民府)라는 만주의 삼부(三府)가 꽃을 피운다.


북만주 밀산(密山)에 집결한 여러 독립군 부대들은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결성했다. 대한독립군단의 총재는 대종교의 서일(徐一)이 맡았고 부총재는 김좌진·홍범도·조성환(曺成煥) 같은 장군들이 맡았다. 이때만 해도 이것이 자유시 사변으로 이어질 줄은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1921년 초여름까지 자유시에 집결한 한인 부대는 모두 4000여 명에 달했으므로 서로 군권을 탐냈다. 이런 상황에서 6월 27일 고려군정의회는 사할린의용대를 무장 해제시키기 위해 극동적군 제2군단 12여단 산하 4개 중대를 차출했다. 사할린의용대가 무장 해제를 거부하자 6월 28일 12시쯤 총격을 가하면서 무장 해제에 나섰다. 이것이 한국 독립운동사상 큰 비극 중 하나인 자유시 사변, 또는 흑하(黑河) 사변이었다.


러시아령에서 자유시 참변을 겪고 만주로 돌아온 독립군들은 전열 재정비에 나섰다. 당시 압록강 대안의 서간도(남만주) 독립운동 세력은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망국 직후 집단 망명해 경학사(부민단·한족회)와 신흥무관학교를 만든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세력으로 광복 후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려는 공화주의자들이었다. 또 하나는 의병전쟁 끝에 만주로 망명한 유림(儒林) 계열의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으로 황실(皇室)을 복원하려는 복벽주의자들이었다. 여기에 3·1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한 오동진 등이 조직한 광복군사령부(光復軍司令部:광복군총영)와 서로군정서 소장파가 결성한 광한단(光韓團) 등도 있었는데 이들도 공화주의자들이었다. 이렇게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있다 보니 각 단체 통합운동이 일어났다.


광복군총영 경리부장인 여성독립운동가 이관린(李寬麟)이 1921년 말 국내로 들어가 신민회 간부였던 양기탁(梁起鐸)을 안내해 건너오면서 통합운동은 활기를 띠었다. 1922년 봄 길림성 환인현(桓仁縣)에서 서로군정서와 대한독립단을 비롯한 광복군총영, 광한단, 평안북도독판부 등 여러 독립운동 단체들이 ‘남만(南滿)통일회’를 개최하고 통합 행정·군사조직인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이후 통군부)를 결성했다. 통군부는 총장에 대한독립단의 채상덕(蔡相悳)을 선임하고 비서장에는 서로군정서의 고할신(高轄信)을, 사령관에는 서로군정서의 김창환(金昌煥)을 선임했다. 그 외에 민사부, 교무부, 실업부 등의 행정조직도 갖춘 사실상의 정부조직이었다.


『독립신문』은 1922년 6월 3일 통군부 중앙직원회의에서 “통군부를 대개방하고 다른 기관과 더불어 무조건 통일하되 일체의 공적인 결정에 복종하자”고 결의하고 연통제(聯通制) 측과 군정서(軍政署) 측에 위원을 파견해 통합을 권유하기로 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그래서 1922년 8월 23일 환인현 마권자(馬圈子)에서 8단(團) 9회(會), 17개 단체 대표들이 모여서 ‘남만한족통일회의(일명 8단 9회)’를 개최하고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이하 통의부)를 결성하게 된다. 각 단체의 명의를 모두 취소하고 대한통의부로 단일화하는 한편 군대의 명칭을 의용군(義勇軍)으로 결정했다. 통의부는 총장에 서로군정서의 김동삼, 부총장에 대한독립군단의 채상덕을 선출해 계파를 안배했다. 그러나 군사부장 양규열, 참모부장 이천민, 사령장 김창환 등 군부 3인은 모두 서로군정서 출신이었다. 민사부장 이웅해와 재무부장 이병기는 대한독립단 출신이었지만 전체적으로는 공화주의를 추구하는 서로군정서의 우위가 관철된 인선이었다. 이는 대한독립단을 의도적으로 소외시켰다기보다 남만주 독립운동 세력의 실제 지형을 반영한 인선이었다.


국경 부근은 매일같이 출동하는 통의부 의용군의 국내진공작전으로 마비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통의부 내부의 이념 갈등이 불거졌다. 복벽주의자들의 불만이 쌓여가면서 1922년 10월 14일(음 8월 24일) 전덕원 계열의 대한독립단 군인 20여 명이 관전현 이종성(李鍾聲) 집을 습격해 통의부 선전국장 김창의(金昌義)를 사살하고 양기탁과 통의부 법무부장 현정경, 비서과장 고할신 등을 구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독립신문』은 이를 ‘서간도사변’으로 보도하면서 ‘통의부가 국체를 민국(民國:공화국)으로 규정하고 대부분의 요직도 신진인사들에게 배정된 데 대한 불만이 표출된 사건’으로 해석하고 있다. 결국 전덕원을 비롯한 채상덕·김평식·오석영·박대호 등의 복벽주의자들은 1923년 2월 환인현 대황구(大荒溝)에서 통의부 탈퇴를 선언하고 의군부(義軍府)를 설립했다. 그리고 1924년 8월에는 통의부 내의 파쟁에 불만을 품은 군인들이 참의부(參議府)를 건설해 임정 산하라고 선언했다. 그해 12월 정의부가 건설되면서 한때 남만주 독립운동단체를 대표했던 통의부는 사실상 와해되었다.


3·1운동 이후 곧 독립이 될 것 같은 분위기 속에서 임시정부가 조직되었지만 3·1운동의 흥분이 가라앉으면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모든 독립운동 세력이 망라되지 못했다는 점도 문제였고, 상해에 위치해 무장투쟁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도 문제였다. 그래서 미주에서 활동하던 박용만(朴容萬)은 북경으로 건너와 국내외에 산재한 10개 독립운동 단체를 규합해 1921년 4월 군사통일회의를 개최했다. 모든 독립운동 단체가 참가하는 ‘통일전선체’를 결성하라는 과제였다.


만주로 돌아간 독립운동가들은 만주지역 내 독립운동 단체의 통일 작업에 나서서 1924년 7월 ‘전만(全滿)통일회의 주비회(籌備會)’를 결성했다. 주비회에는 대한광정단(大韓光正團:대표 김호), 대한독립군(대표:이장녕), 대한독립군단(대표:윤각) 등이 가담했는데 그 중심은 대한통의부와 서로군정서였다. 이때 대한독립군이 임정 옹호를 주장하자 통의부 등에서 극력 반대하면서 다시 갈등이 발생했다. 통의부에서 갈라져 나간 군부 세력이 임정 산하의 육군주만참의부(약칭 참의부)를 결성했으므로 통의부는 임정에 적대적이었다. 결국 대한독립단과 학우회 등이 탈퇴하고 나머지 8개의 독립운동 단체들은 화전현(樺甸縣)에서 전만통일회를 열고 정의부(正義府)를 결성했다.


1924년 11월 24일을 창립기념일로 삼은 정의부는 창립 결의문에서 ‘개국 기원(紀元:단군 기원)을 연호로 사용하고 구(區)의회, 지방의회, 중앙의회를 설치’했다. 또한 ‘각 단체는 명의 취소 성명서를 작성해 대표가 연서해서 공포하고, 각 단의 사무는 폐회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정의부로 인계한다’는 내용을 결정했다(채영국, ‘정의부 연구’, 1998, 박사학위 논문). 이 결의에 따라 서로군정서는 1924년 12월 31일 가장 먼저 통합 선포문을 발표하고 해산했다. 서로군정서가 선포문에서 “오직 우리 독립운동의 유일무이한 정의부라는 기관을 조직한 후 헌법 전문을 새로이 준비한다”고 밝혔듯이 정의부는 군정부(軍政府)를 지향했다.


정의부는 하얼빈 이남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대표 기관을 자임했는데 입법·사법·행정의 3권이 분립된 민주공화제였다. 법률 제정권은 의회에 있었고, 중앙행정위원회(행정부) 산하에 민사·군사·법무·학무·재무·교통·생계(生計)·외무 등 8개 부서를 두었으며, 사법부에 해당하는 사판소(査判所)가 있었다. 참의부가 군사 중심의 조직체라면 정의부는 행정과 군사 병행 체제였다.


남만주에서 참의부와 정의부가 잇따라 결성되자 북만주에도 단체 통합의 바람이 불어서 1925년 1월 목릉현에서 부여족통일회의를 개최하고 군정부(軍政府) 설치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3월 10일 영안현에서 신민부(新民府)가 만들어진다. 신민부는 김혁(金爀)·조성환(曺成煥) 등이 이끄는 대한독립군정서와 김좌진(金佐鎭)·남성극 등이 이끄는 대한독립군단의 두 군사세력이 주축이 되고 중동선(中東線)교육회장 윤우현(尹瑀鉉) 등 민선대표들과 국내 10개 단체 대표들이 참가했다. 신민부도 행정부인 중앙집행위원회와 의회인 참의원, 사법부인 검사원을 두어 삼권분립 체제를 갖추었으며, 재만 한인들의 생활 향상과 군사력 증강, 교육사업에 중점을 두었다. 신민부는 군구제(軍區制)와 둔전제(屯田制)를 실시해 전시가 도래하면 금방 대규모 병력으로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신민부는 주하(珠河)·목릉(穆陵)·밀산(密山)·요하(饒河)·돈화(敦化) 등 15개 지역에 50개 이상의 학교를 건설했다. 그러나 일제의 사주를 받은 만주 군벌당국이 신민부 탄압에 나섰다. 장작림 군벌 경찰은 1925년 10월 영고탑(寧古塔)에서 회의 중이던 신민부 별동대를 급습해 박순보(朴順甫)·신갑수(申甲洙) 등 8명을 연행했다. 이듬해 4월 여섯 명은 석방되었지만 위 두 사람은 그 사이 옥사할 정도로 혹독한 취급을 당했다. 1928년 1월에는 중앙집행위원장 김혁을 체포해 조선총독부에 넘겨주기도 했다. 그 전에 신민부는 장작림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중국국민당의 장개석 정부와 연합전선을 결성하려 하였으나, 애국동지원호회에서 편찬한 『한국독립운동사』(1956)는 1927년 실패로 돌아갔다고 전하고 있다.


안창호는 “정의부·신민부·참의부 등은 만주 반일파의 중심 기관이며, 한교 지도층은 참고 견딜 것을 바라고 있다”면서 “일본제국주의 타도를 위해서는 중·한 두 민족의 긴밀한 협조와 연계가 절실함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광주민국일보 1928년 1월 9일). 중앙일보가 “최근 각 당파의 통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정의부·참의부·신민부·청년당·노동당·남만청년동맹회·흥사단 및 한국 경내의 사상단체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단일당통일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보도한 것처럼 이런 문제들이 재만(在滿)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 논의를 부추기는 효과도 있었다. 모든 운동 세력을 하나로 결집해 민족유일당을 건설하자는 운동과 만주의 삼부를 통합하자는 삼부통합운동이 일어난 것이다.


1926년 7월 임정 국무령에 취임한 홍진(洪震)이 “전 민족을 망라하는 공고한 당체(黨體)를 조직하자”고 주장한 것처럼 상해 임정도 그 전부터 통합운동을 지지했다. 안창호는 1926년 8~9월께 북경에서 임정 창조파로서 임정을 부인해오던 사회주의자 원세훈(元世勳)을 만나 이념과 노선을 초월한 민족의 대동단결을 촉구했다. 이어 1927년에는 만주를 방문해 만주에서 우선 민족유일당이 결성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1928년 1월에는 홍진과 정원(鄭遠)이 만주로 와서 민족유일당 결성을 촉구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정의부 중앙집행위원 김동삼(金東三)과 김원식(金元植)은 갖은 고생 끝에 1928년 4월 북만주의 신민부 본부를 찾아 김좌진 등 신민부 지도자들에게 “광복의 제일요(第一要)는 혈전(血戰)인 바 혈전의 숭고한 사명 앞에는 각 단(團)의 의견과 고집을 버려야 할 것”이라면서 ‘삼단체(참의부·정의부·신민부) 군부(軍部)의 합작’을 역설했다.


1928년 5월 12일부터 길림성 화전현에서 정의부 외 18개 재만 단체 대표자 39명이 민족유일당 건설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크게 단체본위(團體本位) 조직론과 개인본위(個人本位) 조직론으로 나뉘었다. 단체본위 조직론은 기존 단체들이 연합하는 방식으로 민족유일당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개인본위 조직론은 각 단체를 그대로 인정하면 또다시 당파와 파벌이 난립할 것이므로 모든 단체를 해산하고 개인본위로 민족유일당을 조직하자는 주장이다. 두 노선이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단체본위 조직론자들은 전민족유일당협의회를 결성했고, 개인본위 조직론자들도 전민족유일당촉성회를 결성해 각각 통합에 나섰다. 협의회 측은 정의부·참의부·신민부 대표 세 명씩 모여 1928년 9월 길림 신안둔(新安屯)에서 삼부통합회의를 개최했는데 이때도 역시 통합 방식에 이견이 있었다. 세력이 가장 컸던 정의부는 단체본위 통합론을 제기했다. 반면 참의부와 신민부는 ‘삼부 완전 해체’와 함께 ‘전만일반(全滿一般)의 대당주비를 실행하자’고 주장해 기존의 모든 단체를 해산하고 새로운 민족유일당을 건설할 것을 주장했다. 그런데 참의부와 신민부는 이때 한교 배척 문제의 해결책으로 “이주민의 귀화를 장려하고 특수한 자치권(自治權)을 획득하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국에 입적해 중국법의 보호를 받되 자치권을 획득하자는 주장이었다. 이때도 각 세력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는데 여기에는 신민부의 경우 김좌진 등이 주도하는 군정파(軍政派)와 최호(崔灝) 등이 주도하는 민정파(民政派)로 나뉘어 있었던 것처럼 각 부(府)의 내부 분열 문제도 한몫했다. 1928년 12월 길림에서 신민부 군정부를 중심으로 참의부 주류파, 정의부 탈퇴파, 그리고 일부 사회주의자들이 모여 혁신의회(革新議會)를 조직했다. 혁신의회는 회장 김동삼, 중앙집행위원장 김원식, 군사위원장 황학수(黃學秀), 군사위원 지청천, 민정위원장 김승학(金承學) 등을 선임하고 중앙집행위원회의 산하에 3개 분회(分會)를 설치했다. 제1분회는 참의부, 제2분회는 정의부, 제3분회는 신민부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자 혁신의회에 가담하지 않은 정의부 주류파와 신민부 민정파, 참의부 비주류 계열 등은 1929년 3월 정의부 주재로 길림에서 통합 회의를 개최하고 4월 1일 새로운 통합 단체인 국민부(國民府)를 결성했다. 이로써 만주는 혁신의회와 국민부라는 두 개의 통합 조직이 분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는 독립운동 세력들이 노선이나 주도권을 가지고 다툴 때가 아니었다. 신민부 중앙집행위원장 김혁이 이미 체포된 데 이어 통합 회의를 마치고 돌아오던 혁신의회 회장 김동삼도 하얼빈에서 체포되었고, 참의부 대표 김승학도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될 정도로 중국과 일본의 탄압이 극심했다. 이뿐만 아니라 일제가 만주 전역을 무력으로 점령하는 1931년 9월 18일의 만주사변이 다가오고 있었다.


- 이덕일,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제255호 2012년 1월 29일, 제256호 2012년 2월 5일, 제257호 2012년 2월 12일, 제258호 2012년 2월 19일, 제259호 2012년 2월 26일, 제260호 2012년 3월 4일, 제261호 2012년 3월 11일, 제262호 2012년 3월 18일, 제263호 2012년 3월 25일.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86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87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88


http://sunday.joins.com/archives/29968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89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90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92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93


http://sunday.joins.com/archives/42494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