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물 평전 '풍도의 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인물 평전'풍도의 길'은 '중국사 희대의 간신(奸臣) 구하기'에 바쳐진 저술이다. 다섯개 왕조의 열한명의 군주를 차례로 섬긴 인물, 그래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와는 담을 쌓았던 사람인 풍도(馮道.882~954.초상화)가 이 책에서 조명받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의 입장은 '자치통감'을 남긴 사마광의 인물 평가를 정면에서 뒤집는 쪽을 선택하고있다.

"정절을 지키는 여인은 두 지아비를 따르지않고, 충성스런 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풍도가 착한 일 몇가지 했다한들 어찌 괜찮다고 말하겠는가?" 사마광은 이런 단언으로 풍도에 대한 후세의 판단을 일찌감치 규정해둔 핵심이다.

그러나 이 책을 지은 도나미 마모루(전 교토대 교수)는 설득력있는 '풍도 복권'작업에 몰입한다. 사마광은 11세기 송나라 사학의 우두머리. 즉 유학이 관학(官學)으로 자리잡는 과정이었고, 이때 불사이군라는 유교적 정치윤리를 위해 풍도를 희생양으로 만들었다는게 저자의 시선이다.

인물 평가가 이토록 가변적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운데, 우리의 관심은 일단 풍도의 실제모습일 것이다. 풍도는 이런 신념을 가졌다. "임금이 아니라 나라에 충성한다."

즉 주변에서 "불사이군이라는데…"하며 '오뚝이 풍도'의 속마음을 떠보려는 이들에게 그가 대꾸한 말이다. 즉 풍도는 기회주의자라기 보다는 그만의 정치철학을 견지했다.

그는 처신도 신중했다.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요/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전당시(全唐詩)'에 수록된 풍도의 시 '혓바닥(舌詩)'이야말로 권력의 정글 속에서 익힌 처신의 노하우를 보여준다.

"만인과 다투지 않는다" "매사에 실무를 중시한다" 등이 이 책이 제시하는 '풍도의 길'이었다. 어떻게 그런 장수(長壽)가 가능했을까. 그것은 난세 탓이다.

당나라 멸망(907년)이후 송나라가 세워지기(960년)전까지 반세기를 명멸했던 5개 왕조 10개 나라가 각축하던 '오대십국'의 시기야말로 풍도의 시대였다. 책은 풍도가 이 난세에 백성들이 입는 참화를 줄이려 노력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한다.

풍도의 문화적 치적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명저 '중국의 과학과 문명'에서 조지프 니덤이 밝힌대로 "풍도의 경전 인쇄작업은 훗날 송나라 르네상스를 안내하는 힘이었다"는 것이다. 이 번역서에서 우리가 덤으로 확인해볼 것은 '한국의 풍토'가 아닐까 싶다.

이웃 중국.일본 학계의 역사인물에 대한 탄력적인 평가 풍토와 또 달리 유독 한국사회는 경직된 교조적 잣대를 고집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대목 말이다. 책을 읽다보면 현대중국의 넘버투이자 부도옹(不倒翁)들인 주언라이(周恩來)와 덩사오핑(鄧小平)등이 떠오르기도 한다.

조우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