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년간 나 혼자 아들 키웠으니 벌금 내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사 이미지

남측과 북측의 이산가족 530명이 20일 오후 북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재회의 기쁨을 나눴다. 남측 이옥연(88·앉은 사람 왼쪽 둘째) 할머니가 북측에서 온 남편 채훈식 할아버지(88·왼쪽 셋째)와 헤어진 지 65년 만에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아들 희양씨(65).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보고 싶었던 거 얘기하면 한도 끝도 없지. 평생을 떨어져 살아서 할 얘기는 많은데 어떻게 3일 만에 다해. 결혼하고 1년도 못 살고 헤어졌는데….”

그리움이 눈물로 쏟아진 상봉장
결혼 6개월 만에 임신한 채 이별
65세 아들, 83세 북 아버지에 큰절

 남쪽의 이순규(85) 할머니는 1950년 6월 헤어진 북쪽의 남편 오인세(83) 할아버지를 만나자 65년간 품었던 그리움을 쏟아냈다. 오 할아버지는 이 할머니에게 신혼 때처럼 “가까이 다가 앉으라”고 했다. 이 할머니는 “시계 하나 선물하지 못한 것이 맘에 걸렸다”며 사온 시계를 남편 손목에 채웠다.

 유복자로 태어나 아버지를 처음 만난 오장균(65)씨도 떨리는 목소리로 난생처음 “아버지”라고 불렀다. “저랑 꼭 닮으셨습니다. 아버지의 자식으로 당당히 살려고 노력했습니다”라고 아들 장균씨가 말했다. 오 할아버지는 아들의 얼굴을 쓰다듬었다. 65년 만에 이뤄지는 부자간의 첫 대화였다. 장균씨는 아내 이옥란(64)씨와 함께 아버지에게 큰절을 올렸다. 이 할머니 부부는 6·25 전쟁 직전 충북 청원군 가덕리에서 살았다. 49년 말 결혼했을 때 신부는 꽃다운 열아홉, 신랑은 열일곱이었다. 결혼 후 부부가 함께 지낸 시간은 불과 6개월 20일. 50년 6월 남편이 실종됐다. 남편이 실종된 후 배 속에 있던 장균씨가 태어났다. 이 할머니는 홀로 삯바느질과 농사로 가정을 꾸렸다. 이 할머니는 “살아 있는 것만 해도 고맙소. 그래도 65년 동안 나 혼자 아들을 키우고 했으니 벌금이라도 내야지 않겠소”라고 했다. 함께하지 못한 세월에 대한 원망을 이렇게 에둘러 표현했다.

 20일 오후 금강산호텔 남북 이산가족 상봉장은 눈물바다가 됐다. 이날 상봉장에선 남측과 북측 96가족이 재회했다. 인원수는 남측 389명, 북측 141명이었다. 오후 3시17분(북한시간 오후 2시47분) ‘반갑습니다’라는 음악과 함께 이산가족들이 상봉장에 들어섰다. 이내 헤어졌던 가족을 확인하고 상봉의 감격을 누렸다. 남쪽의 이옥연(88) 할머니는 이번 상봉 전까지 남편에 대한 기억을 50년 8월로 멈춰 놓고 있었다. 남편 채훈식(88) 할아버지는 함께 잠을 자다가 “잠시 다녀올게” 하곤 떠났다. 그게 부부의 마지막이었다. 그런 남편이 짙은 회색 양복에 중절모를 쓰고 눈앞에 나타났다. 이 할머니는 분홍색 저고리에 보라색 치마를 곱게 차려입은 모습이었다. 채 할아버지가 손을 잡으려 하자 이 할머니는 “이제 늙었는데 손을 잡으면 뭐해”라며 손을 슬며시 뒤로 감췄다. 손수건 가득 눈물을 흘리던 채 할아버지는 이 할머니에게 직접 사과의 말을 건네지 못했다. 대신 남쪽의 아들 희양(65)씨에게 “너희 어머니가 나 없이 혼자서 가정을 책임졌다. 이 아버지를 이해해다오”라고 했다.

 이 할머니는 평생을 수절하면서 남편과 함께 살았던 경북 문경의 집을 여전히 지키고 있다. “혹시라도 돌아오지 않을까” 하는 바람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 할머니 가족은 이미 채 할아버지가 북한에 생존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먼 친척인 채문식 전 국회의장이 90년대 초반 평양을 방문했을 때 채 할아버지를 만났기 때문이다. 이후 중국 등을 통해 연락을 시도해볼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브로커에게 돈만 떼이는 경우가 많아 포기했다. 이번 상봉은 채 할아버지가 신청해서 성사됐다고 한다. 채 할아버지는 북에서 10년간 홀로 지내다 가정을 꾸렸다. “통일이 언제 올지 몰라서”라고 했다. 이 할머니는 희양씨와 함께 문경에서 농사지은 햅쌀 두 되를 선물로 건넸다. “오래전 떠난 고향의 쌀밥을 꼭 맛보게 해주기 싶었기 때문”이라면서다.

 상봉자 중 최고령인 김남규(96) 할아버지는 북에 사는 막내 여동생 김남동(83) 할머니를 만났다. 면사무소 직원이었던 김 할머니는 6·25 전쟁 때 행방불명됐다. 65년 만에 만난 오누이는 한참 동안 아무 말도 못하고 손만 맞잡고 눈물을 흘렸다. 김 할머니가 “남규 오빠가 옳은가(맞나)?”라고 물었지만 몇 년 전 교통사고로 귀가 어두워진 김 할아버지는 말 대신 눈빛으로 답했다. 김 할아버지의 딸인 경숙(63)씨가 “고모가 할머니와 많이 닮았다. 할머니는 고모 시집 보낼 때 쓰려고 만든 옷과 이불 천을 오래 간직하고 계시다 결국 돌아가셨다”고 말을 건넸다.

금강산=공동취재단,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