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박 대통령 "북한 핵 집착 버리고 대화에 호응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엔(UN)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5일 오후(현지시간) 만나 북한이 도발을 중지할 것과 함께 평화와 대화의 길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뉴욕에 도착한 직후 첫 일정으로 반기문 총장의 관저에서 반 총장과 면담 및 만찬을 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핵에 대한 집착과 소극적인 대화 태도를 버리고 남북대화에 호응하고 평화통일의 길로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핵을 포기할 때 국제사회가 손을 내밀 것이고, 우리도 동북아개발은행 등과 같은 구상을 발전시키면서 북한이 협력의 길로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도 “다음달 10일(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 북한이 장거리로켓을 발사하려는 가능성이 있는데 대해 국제사회의 우려가 있다”며 “북한이 앞으로 도발하지 않고 국제사회와의 대화의 길로 나올 필요가 있다”고 공감했다. 반 총장은 또 지난 ‘8·25 남북 합의’에 대해 “(한국 정부가) 끈기와 원칙에 입각한 남북 대화로 고위급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며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통일 촉진에 관한 유엔 차원의 지원 의사도 거듭 밝혔다.

반 총장은 또 동북아시아 역내 국가 간 협력에 대해 “세계 5대양 6대주의 대부분 지역에 국가 간 연합체가 있는데, 동북아는 지역 협의체가 제대로 발전하지 않아 의아스럽다”고 말했고, 박 대통령도 “동북아야 말로 갈등이 많은데 지역협력이 결여돼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은 이번 개발정상회의에서 채택될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기후변화 대응 등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

박 대통령은 “유엔의 지속가능개발 의제가 많은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채택된 것을 축하드린다”며 “새마을운동 같은 우리나라의 농촌개발 경험을 세계에 전수하는 등 한국이 국제사회 개발을 돕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반 총장도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촉진을 위한 조치들에 대해 설명하며 “제 남은 임기 동안 이것이 확실하게 되도록 내년에 준비작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면담과 만찬은 오후 6시30분부터 8시30분까지 약 2시간 동안 진행됐다.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은 만찬에 앞서 약 20분간 따로 대화를 나눴다. 이날 만찬에는 김용 세계은행 총재도 함께 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반 총장 관저에 도착하자마자 방명록에 “유엔 창설 70주년을 축하드리며, 세계평화를 위해 유엔이 희망의 등불이 되길 바랍니다”라고 썼다. 한편 박 대통령은 파키스탄과 덴마크 외에 27일 나이지리아 정상과 추가로 양자회담을 갖기로 했다.

뉴욕=신용호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