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엔 "북한 인권 책임자 규명 조치 필요" 지적 …북 "너나 잘해라"

중앙일보

입력

스위스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21일(현지시간) 열린 유엔인권이사회 북한 인권 패널 토론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북한은 ‘자기 일이나 잘하라’며 반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위원장 등과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 토론자들이 참석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이날 토론회에서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보고서 등이 발표됐지만 북한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라며 “반인도적 범죄 책임 규명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대표로 발언한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최근 몇년동안 공정한 재판 없이 고위 관리들에 대한 처형이 빈번해졌다는 보고들이 있다”며 “탈북민들의 보고서와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은 이들에 대한 공개 처형에 대공화기인 고사총이 동원된 것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납북자 문제와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도 논의됐다. 마이클 커비 전 위원장은 “이산가족 상봉은 근본적인 인권 문제이자 가족의 생사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갈망”이라며 “한국에만 6만6000명의 이산가족이 있는데 상봉자를 추첨으로 100명만 선발하자고 하는 북한의 요구는 극도로 잔인한 짓”이라고 비판했다. 커비 전 위원장은 현재 이산 가족 상봉을 ‘복권 추첨’으로 비유하며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일본의 납북피해자 가족 모임의 부회장인 코지로 이주카씨는 “1살 때 어머니가 납북돼 어머니에 대한 기억이 하나도 없다”라며 “국제사회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토론회에 강력 반발했다. 북한 대표로 발언한 최명남 제네바 주재 차석대사는 “이날 토론은 미국이 주도하는 적대주의 정책과 정치적 음모의 산물”이라며 “토론자들은 다른 나라의 상황을 언급할 자격이 없다”라며 이날 토론회를 비판했다. 특히 최 대사는 “일본은 반인도적인 범죄도 인정하지 않고 있는 만큼 ‘남의 일에 신경 쓰지 말고 자기 일이나 잘하라’고 하고 싶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