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혁신안 불똥 새누리로… 공천 주도권 싸움 막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새정치민주연합 공천 혁신안 통과의 불똥이 새누리당으로 튀었다. 지난 16일 당 중앙위원회를 통과한 새정치연합 공천룰(국민선거인단 방식 경선)로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주장해온 여야 동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불가능하다. 그러자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이 17일 김 대표 면전에서 “정치생명을 걸고 오픈프라이머리를 하겠다더니, 그게 어려워진 마당에 어떻게 할 것인지 방안을 내놓으라”고 압박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아직 구체적인 공천룰을 마련하지 못한 새누리당 내에서 공천 주도권 싸움이 시작된 셈이다.

이날 오전 7시 김 대표는 당 국민공천제 테스크포스(TF)를 긴급 소집했다. 새정치연합이 공천룰을 확정한 만큼 오픈 프라이머리 추진 동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긴급 소집한 회의다. 회의에선 “새정치연합과 함께 하는 완전국민경선제는 쉽지 않겠지만 새누리당 독자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추진하고 부작용을 막을 방안을 강구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는“새정치연합 공천제는 그간 문재인 대표가 공약한 오픈 프라이머리와 거리가 먼 반개혁적, 반혁신 제도”라고 야당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천을 국민들께 돌려드리는 것이 최고의 정치개혁이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서 최고위원이 나섰다. 김 대표에게 “정치적 생명을 걸고 약속한 오픈 프라이머리가 어려워진 만큼 떳떳이 입장을 밝히라"며 국정감사 이후까지 입장을 밝히라고 했다. 서 최고위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물 건너간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김 대표가 입장을 얘기하고 제2의 방법을 연구하는 게 맞다. 어물어물 넘어가면 안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에 대해 “오픈 프라이머리는 당론으로 정해졌고 서 최고위원도 같은 주장을 했다”며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고 받았다.

김 대표는 요즘 악재의 연속이다. 둘째 사위의 마약전과 문제가 불거진 뒤 친박계 핵심인 윤상현 의원은 “친박에도 대선 주자가 있다”고 계파 갈등을 노출했다. 뒤이어 서 최고위원의 압박이 이어지자 당 내에선 “친박계가 본격적으로 김 대표 흔들기에 나선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특히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 의원이 김 대표 뿐 아니라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 듯 “TK 의원들 공천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한 데 대해 TK 의원들은 부글부글 끓었다. 일부 비박계 의원들은 “대통령 정무특보로서의 무게감 때문에 윤 의원의 발언은 대통령의 의중으로 비칠 수 있다”며 “그게 아니라면 아예 정무특보직을 내려놓고 하고 싶은 말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일부 온건파 친박계 의원들은 “친박-비박을 떠나 윤 의원 발언에 과한 측면이 있었다”며 “공천 룰은 당내에서 차분히 정리해 가면 된다. 올해 말까지는 4대 개혁에 매진하는 게 당청 모두에게 바람직하다”고 진화에 나섰다.

이가영 기자 ide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