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2년 반 … “잘했다” 41% “잘못했다” 49%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 2년 반 동안 박근혜(얼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긍정적인 평가보다 높았다.

 박 대통령 5년 임기의 절반(25일)을 맞아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지난 19~20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전반기 국정 운영을 잘했다”는 응답은 40.5%였고, “잘못했다”는 49.4%였다.

 세대별로 평가가 갈렸다. “잘못했다”는 응답은 20대(19세 포함)가 79%로 가장 많았고 30대(68.7%), 40대(58.6%)에서 높았다. 반면 “잘했다”는 대답은 50대(55.8%)와 60대 이상(71.6%)에서 많았다. 지역별로 분석했을 때 “잘못했다”는 응답이 더 많은 곳은 호남(59.1%), 서울(58.8%), 제주(55.7%), 경기·인천(49.6%)이었다. 반면 “잘했다”는 응답이 “잘못했다”는 응답보다 많은 곳은 대구·경북(54.2%), 충청(49.1%), 강원(48.2%)이었다.

“청년 일자리 위해 정규직 양보” 대통령 발언에 67% 공감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경남은 ‘잘했다’(43.9%)와 ‘잘못했다’(44.4%)는 비율이 오차범위 내였다.

 국정 분야별로 봤을 때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했다고 답한 이들은 외교(32.7%)와 복지(23.6%) 분야를 특히 잘한 분야로 꼽았다. 정치(16.2%), 경제(13.7%), 남북관계(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국정 운영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한 이들은 정치(35.1%), 경제(34.4%) 분야에서 잘못했다고 답했다.

 임기 전반기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정적인 평가를 한 이들 중엔 여권 지지층도 포함됐다. 2012년 대선 때 박 대통령을 찍었다고 밝힌 응답자의 25%가 “잘못했다”고 답했다. 대선 때 지지자 네 명 중 한 명이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새누리당 지지자의 20.6%도 부정적 의견을 냈다.

 잘못했다는 평가를 한 응답자들의 경우 책임이 ‘박 대통령 본인’(57.4%)에게 있다는 견해가 가장 많았다. 이어 청와대 참모진(21.7%), 새누리당(11.3%), 정부기관(5.7%), 야당(1.7%)의 순이었다.

 임기 후반기에 박 대통령이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단연 경제 관련 분야가 꼽혔다. ‘경제 성장’(30.8%)과 ‘경제 양극화 완화’(25%)가 1, 2위를 차지했다. 국민통합(15.7%), 삶의 질 개선(10.3%), 남북관계 개선(6.9%), 국가안보 강화(6%)가 뒤를 이었다. 국제경쟁력 강화(2.8%), 외교 강화(1.7%) 등엔 관심도가 낮았다.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노동 개혁에 대해선 지지여론이 매우 높았다. 박 대통령은 지난 6일 담화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기업과 고임금자, 정규직이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67.2%에 달해 공감하지 않는다(30.3%)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임금피크제’에 대해서도 찬성(68.2%)이 반대(25.4%)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노동 개혁을 연내에 완수하려면 국회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답변도 나왔다. 노동 개혁을 위해 누구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냐는 질문에 국회(28.8%)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업(26.6%), 노사정위원회(22.2%), 대통령(15.2%)의 순이었다.

 광복 70주년 경축사에서 박 대통령이 북한과 일본에 원칙은 지키되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 ‘실리 외교’로 방향을 틀었다는 해석이 나온 것과 관련해선 찬성(65%)이 반대(25.3%)를 앞질렀다.

  이번 조사는 유·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면접으로 실시됐고,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