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청와대 대변인 "내가 잘못 代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공산당 허용." "북핵 대화 이외 방법 거부 시사."

노무현 대통령이 10일 정치권에 던진 두가지 말이다. 11일 정치권은 盧대통령의 발언을 놓고 공격과 방어가 이어졌다.

한나라당은 '공산당 허용'관련 발언을 집중 부각하며 공세를 펼쳤고, 청와대는 '대화 이외 방법 거부'발언이 미국.일본과의 외교적 마찰로 비화되기 전에 진화하려고 안간힘을 썼다.

◇'공산당 허용'발언=한나라당의 하순봉(河舜鳳)최고위원은 "헌법을 수호할 책무를 저버리고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망언이자 중대한 상황"이라며 "국내에서 공산당이 활동하면 그것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라고 보는지 공개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국민적 저항을 경고하며 공개 사과와 해명을 요구하는 발언도 나왔다.

김영일(金榮馹)사무총장은 "대통령은 정체성을 명확히 밝히고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분명한 해명이 없으면 현 정권의 '코드'가 이념적으로 공산주의를 지향한다는 의심을 받아 6월 항쟁 이상의 국민적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격은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도 계속됐다.

민봉기(閔鳳基)의원은 "남북 간에 1백만명이 넘는 군인이 대치하고 국가보안법이 살아 있는 상황에서 공산당 허용 발언은 충격을 던지고 있다"고 했고, 김정숙(金貞淑)의원도 "국내 상황이 공산당을 합법적으로 인정할 만큼 안정적이냐"고 꼬집었다.

이에 고건(高建)총리는 "국내 현 상황에서 공산당을 인정하겠다거나 북한 공산당이 서구의 공산당과 동질적 수준이란 의미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대화 이외 거부 시사'발언=청와대 윤태영 대변인은 11일 "대통령과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거부'라는 표현은 잘못 전달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최대한 합의해서 해결 노력하겠지만 대화 이외의 방법에 대해서는 일부 거부감과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라며 "말을 잘못 전달한 실수에 대해 정중히 사과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 문제가 尹대변인의 잘못으로 매듭지어지고 더 이상 확산되지 않기를 간절히 희망하는 분위기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