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호라이즌스' 9년 여정…'마지막 행성' 명왕성 만난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명왕성 뉴 호라이즌스 호

 
명왕성, 14일 오늘밤 최근접점 통과…'빛의 속도' 실감날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탐사선 '뉴 호라이즌스'호가 14일 오늘밤 명왕성에 가장 가깝게 다가선다.

NASA와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는 뉴 호라이즌스호가 9년 6개월여의 항해 끝에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미국 동부시간 기준, 한국시간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 시속 4만9600㎞ 속도로 명왕성 최근접점(1만2500㎞ 거리)을 통과한다고 밝혔다.

2006년 1월 19일 우주로 쏘아올려진 뉴 호라이즌스호는 2007년부터 7년 간 동면상태를 유지하자 지난해 12월 깨어나 명왕성 탐사 준비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그간 날아건 거리는 56억7000만㎞에 달한다.

태양계 가장 외곽에 있는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은 먼 거리 때문에 심층 연구가 어려웠다. 때문에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명왕성 뉴 호라이즌스 호

뉴 호라이즌스호는 명왕성과 위성 '카론'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가로지르며 0.5㎞급 해상도 컬러사진과 100m급 해상도의 흑백 사진을 촬영한다. 또 대기와 토양정보 등도 수집한다.

뉴 호라이즌스 임무는 이처럼 명왕성과 카론의 △표면 구성물질 △지질 △정확한 형태 △표면온도 △명왕성 대기와 그 방출 비율 △카론 주변 대기 △카이퍼 벨트의 또 다른 별에 대한 탐사 등을 파악하는 것.

한국천문연구원은 "뉴 호라이즌스가 명왕성에 다가가면서 높은 해상도의 사진과 풍부한 관측 데이터를 전송해 오고 있다"며 "뉴 호라이즌스호가 보낸 정보가 지구에 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4시간 30분 정도"라고 설명했다.

뉴 호라이즌스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 사이 '장거리 정찰 영상장치(LORRI)'로 촬영한 고해상도 명왕성 지도를 지구로 전달해 오고 있다.

NASA 측은 "이 지도가 명왕성 표면의 어둡고 밝은 무늬들을 해석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탐사를 통해 얻은 성과 중 하나는 명왕성 적도를 따라 3000km에 걸쳐 형성돼 있고, 가장 어두운 지역인 '고래'(the whale)를 처음 발견한 것. 지형 모양이 오른쪽으로 헤엄쳐가는 고래의 옆모습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 붙여졌다.

또 고래 꼬리에 해당되는 부위의 왼편에는 밝은 '도넛' 형상의 지역이 자리 잡고 있다. 350㎞에 걸쳐 형성된 이 지형은 충돌에 의한 분화구나 화산 같은 원 형태를 띠고 있다. 물론 이는 과학자들의 추측이며, 고래, 도넛 지형의 특징은 뉴 호라이즌스가 보다 더 자세한 영상을 보내올 때까지 해석을 유보한 상태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