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응준 “신경숙에게 표절 따졌더니 되레 주변서 핀잔”

중앙선데이

입력

‘원본을 알고 있으면 재미있는 게 패러디, 원본을 알아 줬으면 하는 것이 오마주, 원본을 감추고 싶다면 표절’.

 소설가 신경숙(52)씨의 표절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한 네티즌의 글이 공감을 얻고 있다. 표절 의혹이 일고 있는 신씨의 다른 작품(그래픽 참조)도 인터넷과 SNS를 통해 퍼지면서 표절 논란은 대한민국 문화계를 달구고 있다.

현택수 “책임지는 모습 나와야”
문학작품 표절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다. 사전적 기준은 인용이나 출처 표시 없이 남의 글을 한 줄 이상, 6개 단어 이상 쓰는 것이다. 신씨를 사기와 업무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한 현택수(57) 한국사회문제연구원장은 “단어가 똑같은 건 반박할 수 없는 물증”이라며 “어떤 작품의 어떤 부분이든 단 한 줄이라도 표절은 표절”이라고 강조했다.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고 지난해 『표절은 없다:논문조작 가이드북』을 출간한 현 원장은 “학계나 문단이나 표절하는 관행도, 눈감아 주는 ‘침묵의 카르텔’도 똑같다. 다른 이슈가 생기면 흐지부지 시켜 묻히는 양상도 판박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번 일이 문단과 학계에서 표절 근절의 계기가 돼야 한다”며 “제대로 사과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응준 “신경숙 비판 글 실을 곳 없다”
신씨의 표절 논란을 제기한 소설가 이응준(45)씨는 전화 인터뷰에 앞서 “개인 신경숙씨에 대해서는 아무 불만도, 관심도 없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16일 글은 ‘고발’이 아닌 ‘기록’이라고 규정했다. 이미 10년 전부터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 역시 알고 있던 내용이라고 했다. 심지어 한 번은 신씨에게 직접 왜 표절을 하느냐고 물어본 적도 있었지만 주위에서 핀잔만 들었다고 고백했다.

 그 ‘기록’을 온라인매체에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왜 문예지를 택하지 않았느냐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철딱서니 없는 얘기다. 나도 그런 곳에 하고 싶었다. 문학의 일이니까 문학의 일로 끝내 보고 싶었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신경숙을 비판하는 글을 실어 줄 문예지는 없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한국 문학이 점점 더 왜소해지는 상황에서 그냥 이대로 갈 것인가, 이대로가 좋다는 것인가, 변화하길 원하는가, 무엇을 바꿀 것인가에 대해 오래 고민했고 더 늙기 전에 10년 전부터 고민했던 인생의 숙제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실을 매체가 없고 지금밖에 할 때가 없었다.”

 문인단체는 입장 표명을 자제하거나 옹호하는 태도를 보였다. 한국소설가협회 백시종(71) 이사장은 “자기가 좋아하는 시적 표현이나 감성적 문구를 지문에 넣는 것은 작가들이 할 수 있는 문제”라며 “많으면 1000장이 넘는 소설에서 어느 문구 한 대여섯 줄을 문제 삼는 것은 트집 잡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모처럼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고 성공할 수 있는 작가인데 사소한 거 가지고 우리끼리 싸우면 오히려 일본 쪽에서 좋아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백시종 “좋아하는 시적 표현은 넣을 수도”
한국문인협회 문효치(72) 이사장도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언론 보도로 봐서 표절로 몰아가기엔 좀 지나치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에서 쓰는 언어를 한 사람이 독점해서 쓰는 건 아니다. 단편이 원고지 100장 정도인데 문제되는 건 2구절이더라. 이것으로 판단하기엔 모호하다”는 것이다.

  한국작가회의 이시영(66) 이사장은 “대답하기 곤란하다”며 즉답을 피했지만 23일 ‘최근의 표절 사태와 한국 문화권력의 현재’를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마련하고 이에 대한 추가 논의를 펼쳐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씨는 지난 16일 허핑턴포스트에 신씨의 단편 ‘전설’이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1925~70)의 작품 『우국』을 표절했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신씨는 17일 출판사 창비에 “읽어 본 적이 없는 작가로 해당 작품은 알지 못한다.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이런 일은 작가에겐 상처만 남는 일이라 대응하지 않겠다”는 e메일을 보냈고 창비도 이날 “해당 장면의 몇몇 문장에서 유사성이 있더라도 이를 근거로 표절 운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비난여론이 비등해지자 창비는 18일 “이 사태를 뼈아프게 돌아보면서 표절 문제를 제기한 분들의 충정이 헛되지 않도록,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자유롭고 생산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언제나 공론에 귀 기울이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