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경영 개입 문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현대차-다임러크라이슬러의 상용차 합작이 노사의 의견 차이로 지연되고 있는 데 대해 정부가 우려를 나타내면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에 인사.경영상 과도한 요구를 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공식으로 밝혔다.

참여정부 들어 개별 사업장의 노사간 쟁점에 대해 정부가 직접 의견을 표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특히 현대자동차가 국내에서 손꼽히는 대형 사업장이라는 점에 비춰 앞으로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본지 5월 30일자 E1면)

산업자원부는 3일 현대차-다임러 상용차 합작 추진과 관련, "현대차 노사간 협상이 결렬된 뒤 당초 출범시기인 5월 말을 넘겨 다임러와의 상용차 합작이 지연되고 있어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노조가 인사.경영에 대해 과도한 요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밝혔다.

산자부 고위 관계자는 "노동부도 우리와 같은 생각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김진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최근 노조가 임금협상 문제 등을 넘어 경영에까지 개입해서는 안된다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이번 합작이 취약한 국내 상용차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며 전주와 전북도 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균형발전에 필수적인 데다 4억유로에 이르는 다임러의 투자 규모까지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합작은 2001년 7월 현대차와 다임러 사이에 상용차 엔진 합작법인인 DHTC를 출범시킨 데 이어 2004년부터 전주공장에서 상용차 엔진을 양산하기 시작하고 2005년에 연간 10만대를 생산한다는 목표로 현대차가 전주공장을 현물출자하고 다임러는 4억유로가량을 출자하는 사업이다.

현대차는 지난 2월 이사회에서 관련 영업양도와 현물출자 등을 결의한 데 이어 노사가 3월 12일부터 10차례에 걸쳐 노사 협의를 벌였지만 67개 쟁점 가운데 이사회 참가, 매각.양도.자본 철수시 노조와의 합의 등 인사 및 경영 참여와 전직 위로금 3백만원 지급 등 27개 쟁점에서 의견을 좁히지 못한 채 4월 9일 협상이 결렬됐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