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메르스발 사회·경제 위축도 초동 진압에 나서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메르스 여파로 학교 휴업이 확산하고 있다. 경기도는 수원·용인·평택·안성·화성·오산·부천 등 경기도 7개 지역의 유치원과 초·중·고 및 특수학교 1255곳이 8~12일, 서울은 강남·서초의 유치원·초등학교 126곳이 8~10일 각각 문을 닫는다. 이처럼 예방 차원의 학교 휴업이 확산하고 있지만 기업은 ‘기업대응지침’이 없어 직원 휴무와 같은 대책을 제대로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2009년 신종플루 사태 당시 당국은 ‘추정 환자 발생 시 근접 접촉자에 대해 하루 2회 이상 발열 여부를 모니터링하라’는 등 상세한 기업대응지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메르스 확진자는 병원을 통해 전염됐고 기업 내 감염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며 대응지침을 내놓지 않아 생산 현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정부는 ‘메르스 기업 가이드라인’을 신속히 만들어 제공해야 한다. 그래야 기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조업과 영업 활동이 가능하다. 메르스에 대한 필요 이상의 과잉 대응으로 인한 사회적 에너지 낭비를 막는 조치이기도 하다.

 정부는 메르스 자체에 대한 대책과 함께 이로 인한 사회·경제 위축도 초기에 막는 대응책을 촘촘하게 마련해야 한다. 세월호 때보다 더 심각한 경제활동 위축이 올 수 있다는 경고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경제는 심리’이기 때문에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그만큼 간접적 피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공기 전염 가능성은 없다’는 사실을 국민에게 적극적으로 납득시켜 내수 위축을 막는 ‘경제 심리전’에 나서야 한다. 그래야 이번 주말처럼 메르스와 무관한 지역의 유통업체·문화시설까지 파리를 날리고 나들이객마저 눈에 띄게 줄어드는 ‘메르스 아노미 사태’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대외적으로 경제·외교 부처와 대사관·무역관 등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우리의 대응 상황을 중국·일본 등 이웃나라에 신속·정확하게 알려 쓸데없는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가 이른 시일 안에 메르스를 차단할 수 있다는 믿음을 보여줘야 유통업·관광업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