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인권이슈가 기업에 위협 요인 되는 시대…기업 살려면 사회문제 해결 적극 나서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윌리엄 과델리 컬럼비아대 교수(오른쪽)는 지난 21일 어윤일 경희사이버대 부총장과의 대담에서 “기업이 사업 성과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로도 평가받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경희사이버대]

세계시민교육의 권위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윌리엄 과델리 교수는 “기업은 외부의 자극이 없으면 모든 이슈를 경제적 관점에서만 바라보려 한다”며 “기업시민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정부와 언론이 기업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학생이 교육을 받아 시민으로 성장하듯 기업 역시 기업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언론이 제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세계교육포럼 참석차 방한한 과델리 교수와 국내 시민교육을 선도하는 경희사이버대 어윤일 부총장이 만나 기업시민의 개념과 역할 등에 관해 대담했다.

 ▶어윤일 부총장=“기업도 시민이란 개념이 아직 생소하다. 지속가능한 발전이 전 세계적인 의제로 제시되면서 기업의 역할도 달라지고 있다. 경제적 역할만 담당했던 자본주의 초기와는 기업 모델이 달라야 한다.”

 ▶과델리 교수=“한국에선 1990년대 이후 윤리경영이란 이름으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됐다. 지금의 자본주의 체제는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기업은 사회라는 안전망과 제도의 틀 속에서 보호받지 못하면 존속 자체가 불가능하다. 기업이 시민의 역할을 하고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하는 이유다.”

 ▶어=“동의한다. 사회는 기업 지탱에 필요한 인력의 공급처이자 재화·서비스의 소비처다. 기업이 지속가능하려면 사회가 건강히 유지돼야 한다. 그렇다면 기업시민을 가로막는 건 뭘까.”

 ▶과델리=“가장 중요한 것은 오너와 경영진의 철학이 바뀌어야 한다. 지속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보면 환경과 인권 등 사회문제는 기업에 가장 큰 위협 요인이다. 기업의 존속을 위해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지 시혜를 베푸는 게 아니다.”

 ▶어=“사회적 책임투자를 유도하거나 기업시민 보고서 작성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제도적 요건도 필요해 보인다.”

 ▶과델리=“기업의 의사결정 구조가 주주 이익을 지키는 데만 쏠리다 보면 훌륭한 철학을 갖춘 최고경영자(CEO)라도 사회공헌 을 매출 증진을 위한 부수적 활동으로 여길 수밖에 없다. 이런 의사결정 구조가 바뀌도록 정부가 적절한 규제와 지원으로 기업의 외부 환경을 조성해 줄 필요가 있다.”

 ▶어=“소비자도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기업의 시민적 역할을 요구할 수 있도록 의식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

 ▶과델리=“단순한 자선 활동과 기업시민 활동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빌게이츠재단은 훌륭한 일을 하고 있지만 (재단이 마이크로소프트를 의식해) 기업이 번 돈을 사회에 돌려주는 자본 회전 성격이 있다. 기업시민 활동엔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한다.”

 ▶어=“그런 철학을 담을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한 게 아닌가. 학생들은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다. 기업은 어떻게 해야 하나.”

 ▶과델리=“정부의 제도적 노력과 더불어 언론과 같은 민간 영역에서 기업시민 활동을 이끌어주는 게 중요하다. 미국에선 언론이 매년 기업시민을 선정하는데 해를 거듭할수록 좋은 활동들이 많이 나온다.”

정리=윤석만 기자 s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