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 참석자 호명하자 야유…김무성엔 물세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공식 추도식이 23일 오후 2시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묘역 주변에서 거행됐다. 5000여 명의 시민이 몰린 이날 추도식에는 권양숙 여사를 비롯한 유족들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참여정부 인사 등이 참석했다.

‘시민의 힘!’이라는 주제로 시작된 추도식은 애국가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추도사, 유족 인사말 등의 순서로 진행했다. 강금실 전 법무장관은 추도사에서 “노 대통령은 대통령을 넘어서고 국가를 넘어선 분이었다고 고백하고 싶다”며 “대선자금 수사와 검찰 개혁은 국민의 권력을 위임받은 최고 권력자로서, 민주공화의 근본가치를 현실화하고자 하는 고인의 희생정신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한 과업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 시작 시각보다 30분가량 일찍 도착한 김무성 대표는 권양숙 여사,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등과 가볍게 인사를 나눈 뒤, 문 대표 옆에 나란히 앉았다. 노 전 대통령 공식 추도식에 여야 대표가 함께 참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 측에서는 김재원 청와대 정무특보가 자리를 함께 했다.

유족 대표로 인사말을 한 아들 노건호씨는 김무성 대표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노 씨는 김 대표를 겨냥해 “전직 대통령이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포기했다며, 피를 토하듯 정상회담록을 읽으신 모습이 눈에 선한데, 아무 말도 없이 불쑥 나타나시니 진정 대인배의 풍모를 보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이후 노 전 대통령 묘역에 헌화하는 자리에서도 노 전 대통령의 지지자로부터 물 세례를 맞았지만 어떤 대응도 하지 않은 채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이날 추도식에선 친노(親盧)ㆍ비노(非盧) 진영 간의 갈등도 폭발했다. 사회를 맡은 김은경 전 청와대 행사기획비서관이 내빈 소개를 하며 지난 3월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무소속 천정배 의원의 이름을 호명하자, 행사장 주변에서는 야유가 쏟아졌다. 일부 참석자들은 김한길 전 대표를 향해 욕설과 함께 “너만 살겠다는 거냐”고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문 대표는 행사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노무현의 이름을 앞에 두고 친노·비노로 분열하고 갈등하는 모습이 정말 부끄럽다”며 “노무현ㆍ김대중 전 대통령 등 떠나신 분들은 이제 놓아드리면 좋겠다. 그 분들의 이름을 말하며 분열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사진 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