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명 뒤에도 남는 의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국민은 노무현 대통령이 어제 기자회견을 통해 친형 건평씨의 부동산 및 샘물회사 장수천 관련 의혹에 대해 더 이상 의문을 남기지 않는 명쾌한 해명을 하기 원했다.

대통령이 이런 문제에 발목이 잡혀 국정에 차질을 빚고, 소모적 정치공방을 벌이는 것은 대통령을 위해서나, 나라의 장래를 위해서도 지극히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盧대통령이 회견에서 이런 국민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점은 매우 아쉽고 유감스럽다.

그의 설명에 납득이 가는 부분도 있었다. 장수천 의혹과 관련, 채무자 입장에서 거치기간을 연장해 달라고 요청했다거나 친형의 땅매입에 투자했던 일정 지분을 장수천 경영에 갖다 쓴 건평씨의 돈으로 상계했다는 해명이 그렇다. 또 장수천을 실질적으로 소유하게 됐던 경위를 설명한 부분도 그렇다.

그럼에도 이날 회견은 많은 의문점을 그대로 남겼다. 우선 장수천에 유입된 자금 부분이다. 장수천 경영을 책임졌던 측근 안희정씨가 나라종금 및 모 창투사에서 받았던 3억9천만원에 대해 검찰은 정치자금이라고 규정해 논란을 빚고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은 정치자금으로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 해명을 하지 않았다. 검찰이 정치인도 아닌 安씨에게 정치자금법을 적용해 법원의 영장기각을 유도했다는 의혹에 대해 마땅히 해명했어야 했다.

盧대통령은 "범법행위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진영읍 신용리 땅과 여래리 상가 건물 등에 대한 그의 해명은 차명 의혹(부동산실명제 위반 혐의)을 피할 수 없다.

또 장수천 채무의 변제와 관련해 그의 후원회장 이기명씨가 보증인으로 대납한 경위 설명이 충분치 않아 의혹을 그대로 남겼다. 盧대통령의 해명이 충분치 못했던 것은 이날 핵심과는 동떨어진 질문을 한 기자들 탓도 있었을 것이다.

대통령은 이 무익한 논란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 국정운영에 진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남은 의혹들을 분명히 밝히고, 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이 순리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