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북한 인권에 관심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내외 인사 10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북한인권국제대회에서 북한 인권 개선과 한국 정부의 관심을 촉구하는 '서울 선언'이 9일 채택됐다.

세계 10개국 50여 개 단체 소속 100여 명의 북한 인권 전문가 등은 선언에서 "생존의 절박한 요구에 의해 탈북한 사람들에 대한 가혹한 보복은 중단돼야 한다"고 천명했다. 특히 "북한 동포에게 가장 깊은 애정을 보여야 할 한국 정부가 국제기구의 북한인권결의를 계속 기권하고 있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한국 정부의 북한 인권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납북자.국군포로의 생사확인과 송환▶지원 식량.의약품의 영유아 최우선 배분▶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해체 등 8개 항을 요구했다. 참가자들은 매년 12월 10일 세계인권선언기념일에 맞춰 세계 각지에서 북한 인권 캠페인을 벌이기로 하고 이를 위해 '국제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기로 했다.

7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북한을 '범죄정권(criminal regime)'이라고 거론해 파문을 일으켰던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는 이날 대회에서 같은 입장임을 거듭 확인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미국 정부는 북한의 불법적인 활동에 대해 지금 대응하려 한다"고 말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인사말에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북한 주민의 생활과 인권을 개선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북한의 심각한 인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행동할 시기가 왔다"고 밝혔다.

제이 레프코위츠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기조발언에서 "수십 만 탈북자들이 위태로운 생활을 하고 있다"며 "중국은 난민 신청자에게 난민 지위를 보장한다는 1951년 난민지위협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북한 인권 문제 제기가 6자회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 "독재 정권에 대해 인권 탄압 문제를 제기하는 데 있어 부적절한 시기는 없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이영종·채병건·강주안 기자(정치부), 박현영 기자(국제부), 백일현 기자(사회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