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 협상, 미 대선의 핵심 이슈로 부상

중앙일보

입력

이란 핵 협상이 2016년 미국 대선의 외교·안보 주요 쟁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진통 끝에 극적 타결된 이란 핵 협상을 두고 민주·공화 대선 후보들 사이에서는 평가가 극명히 갈리는 모양새다.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2일 타결 소식이 발표된 뒤 성명을 통해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고 미국과 이스라엘, 나아가 중동 전체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포괄적 협상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고 평가했다.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오바마 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이 노력을 기울여 왔다" 며 오바마 행정부를 옹호했다. 그는 다만 '악마는 늘 디테일에 숨어 있다'는 말을 언급하며 최종협상 때까지 구체적인 내용을 꼼꼼히 점검해달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반면 공화당 후보들의 반응은 비판일색이었다.

3일 워싱턴타임스에 따르면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는 “이런 흠 있는 합의를 지지할 수 없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추진한 이번 협상은 처음엔 이란의 핵 능력을 부인하기 위한 것으로 시작됐으나 결국 핵 능력을 합법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 역시 “오바마 행정부의 양보로 미국과 동맹국들이 이란 핵협상을 우려한다”는 내용의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협상 세부 내용을 기다리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지금까지의 보도내용만 보면 오바마 행정부는 외교적 실패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트위터에 적었다. 처음부터 이란 핵협상 자체에 반대해 온 공화당은 이번 핵 합의를 의회 차원에서 검증하겠다며 단단히 벼르고 있다.

이란 핵 문제는 오는 2016년 11월로 다가온 미 대선 기간 내내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일단, 최종 합의 시한인 오는 6월 말까지는 이란 핵협상 자체에 대한 찬반 논란이 예상된다. 설령 최종 합의에 이르러서도 합의사항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미 대선 후보들에게 적잖은 영향을 줄 변수들이 떠오를 수 있다. 예컨대 이행과정이 난항을 거듭한다면 클린턴 전 장관에는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오바마의 ‘외교 실패’를 클린턴이 떠맡게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반면 이란이 성실하게 임하고 협상이 순조롭게 흘러간다면 공화당은 오바마 행정부에 ‘흠집내기’ 혹은 ‘발목잡기’를 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