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예년 수준 출제" … 진화 나선 교육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올해 고3이 치르는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난이도와 관련해 교육부가 ‘예년과 같은 수준’으로 출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수능개선위원회의 난이도 안정화 방안 발표 이후 수능 일부 영역이 지난해보다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수험생들이 불안해하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교육부는 20일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같은 출제 기조를 이어간다. 학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예년과 같은 수준으로 출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수학은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이란 취지가 실현되도록 출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 정부는 ‘만점자 1%’를 표방했던 이명박 정부보다 더 쉬운 수능을 추구한다. 2014학년도 수능에서 0.58%(수학B형), 0.39%(영어B형)에 불과했던 만점자 비율은 지난해 수능에선 4.3%(수학B형), 3.37%(영어)로 대폭 늘었다.

 하지만 이날 발표를 지난해처럼 만점자가 많이 나오도록 출제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입시 전문가들은 지난해와 비슷하게 전반적으로 쉽게 문제를 내는 가운데 만점자 비율 조정을 위해 까다로운 문항을 일부 포함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안연근 서울진학지도협의회 회장(잠실여고 교사)은 “쉬운 수능 기조는 유지하면서도 지난해 수학B형처럼 만점을 맞아야 1등급이 나오는 건 막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그는 “상위권 학생들의 변별을 위해 어려운 문제 2개 정도를 내되 평균 점수는 올리는 방향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윤근 양정고 수학교사는 “쉽게 내겠다지만 수학 난이도가 지난해보단 어려워질 것이다. 상대평가인 수능에선 석차가 중요하니 수험생들은 난이도에 연연하지 말고 실수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탁·신진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