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재인 '4·29 격돌'… 대표 리더십 첫 정면승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2일 오전 울산상공회의소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연 뒤 울산박물관까지 수소연료 전지차를 직접 시운전했다(왼쪽 사진). 같은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박성택 회장 등을 만나 최저임금 인상 문제를 논의했다. 사진=김상선 기자, [뉴시스]

새누리당 안덕수(인천 서-강화을) 의원이 12일 의원직을 상실했다. 대법원 3부(주심 김신 대법관)가 선거비용을 초과 지출한 혐의로 기소된 그의 회계책임자 허모(43)씨에게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하면서다. 선거법상 회계책임자가 징역형 또는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이 확정되면 해당 의원은 당선 무효가 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첫 정면 승부 무대인 4·29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는 서울 관악을, 성남 중원, 광주 서을, 인천 서-강화을 등 4개 지역에서 치러지게 됐다. 두 대표 모두 여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차기 주자인 만큼 재·보선의 결과가 몰고 올 파장은 클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한 인천 서-강화을에 집중해 의석을 뺏기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나머지 3개 지역에서도 내심 선전을 기대하고 있다. 이 세 곳은 19대 총선에서 야권 연대로 옛 통합진보당 의원들이 승리한 야권 우세 지역이다.

 그러나 문 대표가 “명분 없는 야권 연대는 없다”고 선언한 데다 천정배 전 의원의 탈당, 옛 통진당 의원들의 무소속 출마의사 등에 따라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치러지게 되면서 야권 표가 분산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재·보선은 원래 ‘여당의 무덤’으로 불릴 정도로 야당에 유리한 결과가 나온 적이 많고, 최근 상승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 2년에 비해 많이 떨어진 것은 여당으로선 불리한 상황이다.

 새누리당 정양석 제2사무부총장은 “야권 분열이 우리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야권 지지자들의 표가 응집될 가능성도 있다”며 “일단 인천 서-강화을에 총력전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 의원은 “김 대표 입장에선 인천 외에 서울 관악을이나 성남 중원에서 승리하면 성공한 승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김 대표가 2석 이상을 확보해 낸다면 당·청 관계에서도 무게중심이 당으로 쏠리게 될 것”이라고 봤다. 거꾸로 인천을 포함해 4곳 모두에서 패한다면 친박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인책론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대표에게도 이번 선거는 위기이자 기회다. 재·보선 특성상 투표율이 낮고 중장년의 참여율이 높아 지형 자체가 불리한 데다 야권 후보가 난립한 상황에서 선거를 치러야 한다. 당내에선 문 대표가 책임론에서 벗어날 ‘마지노선’을 2석으로 보고 있다. 김경협 수석사무부총장은 12일 “4석 중 그래도 2석은 이겨야 책임론 등에서 명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선거의 승패는 의석수보다 오히려 광주를 지키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실제 새정치연합의 기반인 광주 서을을 잃을 경우 친노와 비노의 계파전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커짐은 물론 야권 전체의 재편 움직임으로 번질 수도 있다.

 반면 광주 서을을 지켜내면서 수도권 ‘1+α’ 전략에 성공할 경우 차기 가도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수도권에서 가장 가능성이 큰 지역으론 서울 관악을을 꼽고 있지만 경선 후유증이 변수란 분석이다. 현재 관악을은 문 대표의 최측근이자 노무현 정부 청와대 대변인 출신인 정태호 지역위원장과 박지원 의원의 핵심 측근인 김희철 전 의원이 경선을 펼치고 있다. 국민·당원 여론조사(50%)와 당원 현장투표(50%)를 병행한 경선 결과는 14일 나온다.

이가영·강태화 기자 ide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