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정 나무' 아래 손잡은 문재인·남경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왼쪽)와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10일 오전 경기도청 도지사 집무실 벽에 걸린 연리지(連理枝) 그림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하고 있다. 문 대표와 남 지사는 이날 경기도·새정치연합·새누리당이 공동 주최한 ‘경기도 연정 및 생활임금 간담회’에 참석해 연정의 필요성 등을 논의했다. [사진 경기도]

“이게 연정(聯政) 나무다. 뿌리는 다르지만 하나로 뭉쳐 국민한테 큰 목소리를 낸다는 것이다.” 10일 오전 수원 경기도지사 집무실을 방문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에게 새누리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3D 프린터로 만든 연리지(連理枝·뿌리는 다르지만 가지가 붙어 한 몸으로 자라는 나무) 그림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두 사람은 경기도·새누리당·새정치연합이 공동 주최한 ‘경기도 연정 및 생활임금 간담회’에서 만났다. 문 대표가 새누리당 소속 단체장을 만난 건 취임 후 처음이다. 이날 방문은 새정치연합이 연정의 전제로 요구한 ‘생활임금제(물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보다 높은 최저생활비를 임금으로 보장하는 것)’를 경기도가 3월부터 실시하는 데 대한 화답의 성격이다.

 ▶문 대표=“여소야대의 도의회 구도 속에서 야당으로부터 사회통합부지사를 파견받고 생활임금 등의 정책들을 추진했다.”

 ▶남 지사=“통합의 정치를 위해선 우리 것을 내려놓는 용기가 필요하더라. 사실 지방자치는 절름발이다. 인사·예산에서도 그렇고, 너무 중앙집권화돼 있다.”

 ▶문 대표=“참여정부 때도 ‘지방자치가 제대로 되려면 행자부가 없어 야 한다’고 했다.”

 ▶남 지사=“(정당 내) 공천도 너무 소수에 집중돼 있다. (의원 시절)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했다. 여야가 함께 입법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문 대표=“오픈프라이머리야말로 공정하고 투명한 제도 아니겠느냐.”

 문 대표는 “최저임금 인상이나 생활임금 도입은 여야, 진보·보수를 떠나 우리 경제를 살리는 일”이라고 했다. 남 지사는 “소득 주도 성장 등은 큰 틀에서 공감한다”며 “다만 생활임금이 사기업으로 확대되면 국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지혜를 짜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정은 2015년 남 지사의 ‘브랜드’가 됐지만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에 제안한 대연정이 뿌리다. 그래선지 문 대표는 감회에 젖은 표정이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