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난자 사용… 금전적 보상… 국제 학계 어떻게 볼지 촉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연구의 윤리 파문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연구원 난자 제공이 사실로 드러났고, 황 교수가 지난해 5월 이 사실을 알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에 의혹을 모두 털고 윤리 기준을 더 강화해 한국 과학계가 한 차원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왜 공개하지 않았나=황 교수는 그동안 연구원 난자 제공 사실을 부인해 왔다. 황 교수는 서울대 수의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에서 "난자를 제공한 연구원들이 사생활 보호를 위해 공개하지 말 것을 강력히 요청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연구원의 사생활 보호'를 '연구 과정의 투명성과 윤리 규정 준수'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의미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황 교수가 지난해 5월 알았을 때 적절하게 대처했으면 파문을 줄일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네이처지 보도 직후 자체 조사 결과를 밝히고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야 했다는 지적이다.

황 교수팀이 2003년 연구 당시 윤리 문제를 소홀히 다룬 흔적도 나타난다. 황 교수는 IRB 조사 때 "(2003년 연구 당시) 연구원들이 '우리 난자부터 제공하겠다'고 나서 내가 '굳이 그럴 필요가 있느냐. (미즈메디병원이) 난자를 구해 준다고 했으니 기다려 보자'고 세 번이나 말렸다"고 말했다. 또 난자를 제공한 연구원 A씨는 "연구원이 난자를 제공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진술했다. 연구원의 난자 제공은 엄격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중대 사안임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 어떤 영향을 미칠까=사이언스가 황 교수 논문 게재를 취소할지가 관심거리다. 사이언스는 22일 황 교수에게 난자 취득 과정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면서 "난자 취득과 관련한 논란이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혀 일단 논문 취소로 갈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이럴 경우 사이언스가 일부 정정 보도를 내는 것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크다. 네이처 등에서 황 교수 측의 은폐 의혹을 제기하면서 연구 과정의 불투명성을 문제 삼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논란에도 불구, 황 교수의 체세포 배아복제 등의 연구 실적은 세계적인 업적으로 계속 남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