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 걸린 두 환자가 있다. 유방암 환자 김모(56)씨는 수술 후 표적치료제를 투여받으며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 없이 지내고 있다. 본인은 약값의 5%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정부가 책임진다. 더불어 이전에 가입했던 암 보험 덕분에 마음의 부담은 훨씬 적다.
비슷한 시기에 암 환자인 이모씨도 수술을 받았다. 수술 경과는 좋았으나 이어지는 항암치료로 몸과 마음이 지쳐 있다. 표적치료제를 사용하면 좋다지만 엄두도 내지 못했다. 하필 이모(48)씨의 질환은 다른 암과 달리 치료 옵션이 없고, 그나마 유일한 표적치료제는 보험이 되지 않아 약값으로 한 달에 수백만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씨가 투병하고 있는 암은 난소암이다.
매년 2000명 이상의 환자가 난소암으로 진단받는다. 이 중 절반가량이 3기 혹은 4기, 즉 말기가 돼서야 병원을 찾는다. 증상이 없어 발견이 늦기 때문에 치료는 어려워진다. 말기의 경우에는 주로 수술을 통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항암치료를 병행한다. 문제는 여기에서 발생한다. 난소암 환자가 항암치료를 받을 때 사용하는 약은 10~20년 전에 출시된 것들이다. 강산이 두 번 변할 동안에도 치료 패턴에 변화가 없다. 물론 난소암 치료에 있어 전혀 발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난소암 역시 암세포에만 작용하는 표적치료제가 개발됐다. 표적치료제는 기존 약제 대비 치료 예후가 좋고, 환자가 치료받기에도 용이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환자에게는 그림 속에 있는 병과 마찬가지다. 다른 암에 비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표적치료제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4대 중증 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3년차에 접어들었다. 이를 통해 많은 환자가 혜택을 받았지만 보장성 강화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는 상대적인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일부 암은 ‘골라서 쓸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가지 치료 옵션이 보장된다. 반면에 난소암은 10년 전에 사용하던 약제를 그대로 쓰고 있을 정도로 치료 환경이 열악하다. 이로 인해 환자는 ‘암에도 등급이 있느냐’ ‘왜 하필 난소암이냐’고 좌절한다.
난소암처럼 치료가 제한적인 질환은 무엇보다 사회적 관심, 그리고 환자에게 생의 동아줄 같은 보험의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효율적인 복지혜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난소암같이 환자를 위한 혜택에서 소외받는 분야가 없도록 촘촘하게 맞춤형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김병기 대한부인종양연구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