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키우기] 하루 동안 굶은 뒤 느낌을 적어 보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② 1989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어린이들의 생존 권리 등을 규정해 놓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권리가 들어 있는지 알아보세요.

☞유니세프한국위원회 홈페이지(www.unicef.or.kr) 참조.

③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주관적 빈곤의 차이를 구별해 보세요.

④ 국제사회가 어린이 기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⑤ 가난한 나라는 대체로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 일부 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이들 지역이 가난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⑥ 빈곤층을 외면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점을 사회→국가→세계로 나눠 예상해 봅시다.

⑦ 세계식량계획(WFP) 등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 전체 식량 생산량은 인류가 먹고도 남는데, 굶주림으로 죽는 지구촌 어린이는 하루 4만 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도움을 호소하는 취지의 포스터나 공익광고를 만들어 보세요.

⑧ 학급 단위로 수익금을 남겨 구호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행사 아이디어를 기획해 실천하면 어떨까요. 해외 빈곤층을 돕는 NGO에 개인적으로 기부해도 좋아요.

⑨ 과거 우리나라도 외국의 원조를 받아 어려운 시절을 극복했습니다. 전쟁과 빈곤으로 고통받는 저개발국 어린이들을 우리나라가 도울 수 있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⑩ 소득(자본).건강.교육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일어나는 빈곤의 악순환 과정을 설명하고, 선순환으로 바꿀 수 있는 방안도 신문기사에서 예를 한 가지씩만 찾아 궁리해 봅시다(모둠 토의).

⑪ '개천에서 용 난다'는 우리 속담이 있습니다. 지금도 이 속담이 통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지 않다면 실례를 들어 그 이유를 1000자 안팎으로 서술하세요.

※참고하세요=중앙일보 2004년 3월 22~31일자('가난에 갇힌 아이들'네 차례 시리즈 기사), 2005년 10월 24~26일자('가난에 갇힌 지구촌 아이들' 세 차례 시리즈 기사), 10월 27일자 8면("국민 참여하는 해외 원조 늘릴 것"), 11월 1일자 31면("전 세계 빈곤 퇴치에 작은 힘 보태요"), 11월 2일 29면(기아에 지친 제3세계 적극 지원 나서야) 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