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체온 이용 웨어러블 발전기 개발 … 유네스코 ‘세상 바꿀 10대 기술’ 1위 뽑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KAIST 조병진 교수(왼쪽)팀이 개발한 밴드 형태의 팔목 부착용 열전 소자. [사진 KAIST]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웨어러블(wearable) 체온 전력생산 기술’이 유네스코 선정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중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이 기술은 체온에 의해 생기는 옷감 안팎의 온도 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프랑스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 8회 ‘유네스코 넷엑스플로상(Netexplo Award)’ 시상식에서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조병진(52) 교수팀이 그랑프리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기술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예측하는 기관인 넷엑스플로는 2008년부터 유네스코와 공동으로 10대 혁신 기술상을 시상해 왔다. 10대 기술은 전 세계 전문가 200여 명의 투표로 결정되며, 네티즌들의 온라인 투표로 그중에서 그랑프리를 뽑는다.

 조 교수팀은 열전(熱電) 소자를 유리섬유 위에 부착해 착용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었다. 이 소자를 가로·세로 각 10㎝의 밴드로 만들어 팔에 차면 외부 기온이 영상 20도일 때(체온과 약 17도 차이) 약 40㎽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온도 차가 있을 때 반도체 내부에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정도 전력이면 반도체 칩을 구동할 수 있다. 윗옷 크기(50×100㎝)로 만들면 약 2W의 전력을 발생시켜 휴대전화도 충전할 수 있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