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부회장 "강 교수, 자본주의 부정은 위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동국대 강정구 교수의 발언에 대해 재계가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특히 시장경제 이념을 현격히 훼손하는 반시장적 강의를 들은 사람에게는 기업 채용 때 불이익을 주는 등 재계차원의 대책 마련을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대한상공회의소 김상렬 부회장은 4일 기자들과 만나 "강 교수의 발언은 대한민국의 자본주의 체제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 재계의 인식"이라며 "그런 인식을 가진 사람이 대학강단에서 젊은 학생들을 가르치게 내버려 둬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강 교수가 대학교단과 학문의 자유를 방패막이 삼아 젊은 학생들을 상대로 그같은 강의를 하고 사회적으로도 발언하고 있다"면서 "강 교수의 이런 강의를 받은 학생들이 시장경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을 지, 올바른 경제관이나 역사관을 가질 수 있는 지도 의문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바른 시장경제 교육과 시장경제 이념이 뿌리내리기 위해 기업들의 채용 때 대학수업 내용 등을 참고하도록 경제단체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해 강 교수처럼 반시장경제적 생각을 가진 교수들의 강의를 들은 학생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대책의 하나로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아울러 "시장경제의 우수성 등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강 교수의 발언에 반박하는 내용의 시론을 언론에 싣는 방안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자본주의 체제의 정당성과 우월성은 이미 역사를 통해 입증됐는데도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체제를 받아들였어야 했다는 식의 주장을 한다는 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6.25는 통일전쟁' 발언으로 일부 보수단체에 의해 경찰에 고발된 강 교수는 4일 경찰에서 3번째 소환조사를 받았다.

한편 강정구 교수는 3일 '미디어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 부분(6.25는 통일전쟁 발언)에 대해 내가 사법처리 된다면 UN총회에 대한민국정부를 기소하겠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이날 인터뷰에서 "UN이 정한 불법침략전쟁은 국가끼리의 전쟁으로 한정하는데, 하지만 6.25는 분명 사변이나 동란 등의 표현으로만 봐도 내란으로 규정돼왔다"며 "자료에 바탕해 사실논쟁을 이어가야 하는데 (이번 사건을) 이념논쟁으로 언론에서 만들어 나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 말했다.

디지털뉴스센터,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