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취업률 조사] 조사 어떻게 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교육인적자원부의 취업률 통계조사는 지난해부터 조사 항목이 4개에서 9개로 늘었다.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조사항목은 취업구분.직업분류.산업분류.취업경로, 전공일치 여부, 직업명.근무지.회사명.회사구분 등이다. 대학의 취업담당부서나 학과에서 졸업자를 전화 등으로 개별 접촉해 9개 모든 항목을 개인별로 조사.기재한 뒤 교육부에 보고하게 돼있다.

이번 조사에서 취업자 기준은 '주당 18시간 이상 일하면서 보수를 받는 자'로 통계청.국제노동기구(ILO)의 조사대상 '주간에 1시간 이상 수입을 목적으로 일한 자'보다 엄격하다. 취업률은 군 입대자와 대학원 진학자를 뺀 졸업자 가운데 취업자의 비율(순수 취업률)로 산정했다.

교육부는 1차 조사 결과에 대해 30개대(전문대 15개대 포함)를 표본 추출해 '조사 방법'등에 대해 현장 조사를 했다. 또 이와는 별개로 조사전문기관을 통해 취업자로 보고된 졸업자 60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조사결과의 정확도(92%)를 검증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정도의 신뢰도면 낮은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취업률 조사는 대학이 자체 조사해 교육부에 보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학이 의도적으로 부풀리기를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대학별 조사에 대한 교육당국의 실사 규모를 확대하고 92%에 불과한 정확도를 높이는 한편 허위 보고 대학에 대해서는 행.재정적 제재를 하는 등의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하대 관계자는 "대학들이 허위로 취업률 조사항목을 기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다만 취업률이 높아졌더라도 대학들이 구멍가게 규모의 자영업자나 임시직도 취업자에 포함시켜 보고해 사실상 취업의 질은 높아지지 않은 측면이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