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는 왜?', 발췌본 읽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전 대표)이 201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준비했을 당시부터 안 전 의원을 도왔던 강동호 뉴딜정치연구소장(전 안철수 캠프 지역협력팀장), 강연재 변호사(전 새정치연합 부대변인), 오창훈 변호사(전 안철수 캠프 민원팀장), 정연정 배재대 교수(전 안철수 캠프 정치혁신위원)가 대담집 『안철수는 왜?』를 출간했다.

저자들은 5일 보도자료를 내고 “물음표의 중심에 선 당사자가 직접 입을 여는 것이 어렵다면 그 주변에서 안철수를 지켜보고 잠시라도 함께 했던 사람들이라도 이 설명을 해야만 한다”며 "지난 2012년 대선부터 새정치민주연합 창당전까지 3년여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았다"고 밝혔다.

이 책의 출판사인 도서출판 '더굿'은 이날 책의 일부를 발췌본 형식으로 공개했다. 당초 12일 초판을 낼 예정이었던 출판사는 "인쇄가 완료되는대로 이르면 6일부터 시중에서 도서구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책 내용에 대해 안 전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책을 발간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저와 상의한 적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당의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시점에서 지난 대선에 대한 불필요한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유감”이라며 “지난 대선과 이후의 정치적 선택은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발췌본에 적혀 있는 저자들의 발언과 주장을 주제 별로 엮어봤다.

◇문재인·안철수 단일화= “문재인측, 처음엔 안철수에게 도와달라고 하지도 않았다”

-“당시 문재인 후보는 안철수가 사퇴했을 때 처음에는 도와달라고 하지도 않았다. 박근혜와 지지율이 비슷하게 갔었기 때문이다. 일주일 정도 지나서 지지율이 많이 밀리기 시작하자 도와달라고 난리를 쳤다…문재인 후보 선거 운동 일정에 맞춰 손잡고 다니며 ‘얼굴마담’ 같은 선거 운동만 해달라는 식이었다”(오창훈)

-“문재인 후보측의 조직적 대응과 행동들이 나에게는 매우 충격이었다. 이래서 모든게 조직이라는 생각을 했고 그들의 프로파간다는 항상 세게 작동했다.”(정연정)

-“단일화가 끝내 안돼 양보하고 '문재인 당신이 잘해보시오' 한 것 아닌가. 사퇴 선언을 울먹이며 한 사람으로서는 스스로 마음을 추스를 시간도 필요하고 지지자들 다독일 시간도 필요한건데, 그 시간도 주지않고 마치 안철수가 문재인 선거를 도와줘야할 의무가 있는 사람인양 전제하고는 안철수를 몰아붙였다. 선거 실패 후에는 또 그 실패의 책임을 안철수에게 묻는 아주 혹독한 일들이 일어났다”(정연정)

◇단일화 양보후 왜 하루 전 미국으로 떠났나=“‘광화문대첩’서 친노 중심 폐쇄적 선거운동이 충격이었을 것”

-“안철수는 당시 문재인 후보를 위해 지역 곳곳을 다니며 열심히 선거 운동을 했다. 사퇴한 후보임에도 불구하고 안철수가 가는 선거 운동 장소에는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 들었다. 이런 이상 현상이 한동안 이어졌는데, 소위 ‘광화문 대첩’이라고 불렸던 마지막 선거 유세가 이러한 열기를 완전히 망가뜨렸다…안철수가 연단에 오르려는 순간 펼쳐진 친노 중심의 폐쇄적인 선거 운동 풍경이 안철수에게는 상당히 충격이었을 것. 소위 친노(親盧) 연예인과 친노 (지지자) 들이 대거 무대위에 올라와서 마지막 유세를 장식했다. 중도·무당·새정치 지지층은 온데간데 없었고 오로지 친노들만의 축제를 국민앞에 보여준 것. 안철수를 불러다놓고는 마지막 유세를 그런 식으로…안철수는 자신이 가려고 하는 길, 옳았다고 생각하는 선거 프레임이 완전히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정연정)

-“출마 포기 후 선거 직전까지 포럼들이 있었다. 그때 안철수가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든 안되든 저는 저 자신의 정치를 계속 할 겁니다’라고 하더라. 지역 포럼 대표자들과 비공개로 만난 자리에서는 ‘민주당과 함께 뭔가를 한다든지, 민주당과 같이 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라고도 했다. 그때 받은 느낌상 안철수가 대선 당일 미국으로 떠난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았다”(강동호)

◇합당후 친노(親盧)의 ‘안철수 흔들기’=“같은 당 의원이 ‘자기가 진짜 당 대표인줄 착각한다’고 막말해”

-“합당을 위한 서울시당 창당대회를 하는 자리에서도 민주당쪽 서울시당 위원장인 오영식 의원이 말도 안되는 발언을 했다(강동호). ‘기초선거 무공천 안된다. 우리지역에서 고생하는 후보들 다 죽이자는 것이냐’는 식의 대회 축하인사말이었다. 합당을 축하하는 서울시당 위원장이 할 말인가(강연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안철수를 겨냥해 ‘자기가 진짜 당대표인줄 착각한다’는 막말을 하기도 했다”(강연재)

-“전남도당위원장인가 하는 사람이 최고위 회의에서 대놓고 안 전 대표에게 ‘우리당 대권주자가 당신밖에 없는 줄 아느냐’라고도 했다. (강동호)

-“통합신당 창당 이후 안철수가 목격한 민주당의 본질은 기초 선거 정당 공천제 폐지에 대한 당내 반발이었다. 합당의 기초명분인 내용을 통합하고 얼마되지 않아 손바닥 뒤집듯하는 그 본질…그 때 제일 먼저 대표직 물러나라는 발언 했던 게 정청래 의원이었다. 이때부터 안철수의 지지율은 급락하기 시작했고, 결국 자신들의 진영 안에 있는 안철수의 지지율을 떨어뜨리는데 아군이 현격한 공헌을 한 셈”(정연정)

-“서울시당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때 이계안 서울시당 공동위원장이 자신의 평생 절친이라며 이목희 의원을 공천관리위원장으로 동의했다. 자신과의 인연때문에 이 의원을 ‘민주당 사람으로만 보지 않아도 된다’며 낙관했다. 그런데 알고보니 이 의원은 안철수 대표라고도 부르지 않는 대표적인 반(反)안 의원이었다” (강연재)

-“모 의원은 ‘안철수가 우리당에 와서 한게 뭐있어. 지금 지분을 주장하겠다는 거야?’라고 막말하고, 우리가 ‘구(舊)민주당’이라고 부르니까 ‘왜 구민주당이라고 하느냐, 그냥 민주당이라고 하라’며 광분했다. 그렇게 안철수가 싫고 합당도 싫다면 합당 결의를 할 때 당당하게 소신껏 반대했어야지” (강연재)

◇7.30재보선=“권은희, 공천장줄 때 처음봤다더라”

-“궁금해서 안철수에게 물어봤다. 권은희 의원 직접 공천을 주신 것이냐. 사전에 인연이 있던 사이냐. 근데 안 전 대표가 ‘공천장과 운동화 줄때 처음 봤다’고 했다. 둘 사이에 어떤 교감도 없었고 사전 인사를 한적도 없었다고 했다”(강연재)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