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권 2기 겨냥한 시진핑, 공청단 힘빼기 작전 실행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지난 6월 하순 중국의 인터넷에 이런 글귀가 돌아다녔다. “정책에 문제가 생겼으니 방침이 어찌 좋으랴. 계획 완성이 어려우니 노선이 걱정이로다. 사람들을 불안케 하누나(政策出了問題 方針可好 計劃難以完成 路線甚憂 令人不安).” 뭘 얘기하는지 알쏭달쏭하지만 굵은 글씨로 표시한 보통명사들을 고유명사로 해석하면 의문이 금세 풀린다. 현재 중국에서 가장 유명세를 치르고 있는 형제들(4남1녀)의 실명, 즉 링지화(令計劃)를 비롯해 정처(政策)·팡전(方針)·완청(完成)·루셴(路線)을 나열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마지막 구절은 “링(令) 가문이 불안에 떠는구나”란 뜻이 된다.

누군가가 이 글귀를 지어 인터넷에 띄운 건 반부패 드라이브의 최선봉인 공산당 중앙기율위가 산시(山西)성 정협 부주석 링정처를 입건 조사 중이라고 발표한 직후였다. 그로부터 5개월 뒤인 12월 22일 링 집안의 불안은 현실이 됐다. 가문의 영광이던 링지화 통일전선공작부장이 서슬 퍼런 기율위에 불려가 조사를 받는 신세로 추락했다.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에 이은 다음 사냥감이 될 것이란 예상(중앙SUNDAY 12월 7일자 3면) 그대로였다.

링지화 몰락의 발단은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의 임기 말년인 2012년 3월 18일 오전 4시쯤 일어난 교통사고였다. 베이징의 북사환(北四環) 순환도로를 달리던 페라리 승용차가 갑자기 고가도로 교각을 들이받고 전파됐다. 즉사한 운전자 링구(令谷)는 링지화의 외동아들이었다. 동승한 여대생 2명 중 한 명도 치료 중 숨졌다. 20대 청년에 불과한 권력자의 아들이 수억원대의 페라리를 몰다 사고를 냈다는 소식은 동승 여대생들이 나체에 가까운 상태였다는 소문까지 보태져 인터넷에서 삽시간에 퍼졌다. 이와 함께 링지화의 형제자매들이 그의 권력을 뒤에 업고 부정축재를 했다거나 부인이 공익기금의 부이사장을 지내면서 천문학적인 액수의 돈을 긁어모았다는 사실이 퍼져 나갔다. 링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반부패 사정 칼날을 피해 갈 수 없었던 이유다.

시 주석 체제서도 공청단은 여전히 막강
그해 11월로 예정된 18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총 25명)으로의 발탁이 확정적이던 그의 출세가도도 끝이 났다. 그는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에서 통일전선부장으로 옮기는 사실상의 좌천인사를 당했다. 중앙판공청 주임은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에게 올라가는 모든 서류를 미리 챙기고 면담 일정을 조정하는 비서실장 역할이다. 양상쿤(楊尙昆)·차오스(喬石)·원자바오(溫家寶)·쩡칭훙(曾慶紅) 등 쟁쟁한 역대 권력자들이 이 자리를 거쳤다. 시 주석은 핵심 측근인 리잔수(栗戰書)를 이 자리에 앉혔다.

링은 철저히 후진타오의 사람이었다. 후는 월급 18위안(약 3200원)의 인쇄공장 직공 출신으로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온 그의 능력을 높이 샀다. 링은 후의 10년 집권기간(2002~2012년)에 부주임과 주임으로 재직하며 ‘분신’ 역할에 충실했다. 후와 링을 잇는 정치적 고리는 공산주의청년단이다. 후는 공청단 제1서기를 지냈고, 링은 공청단 지방조직에서 시작해 중앙선전부장을 지내며 잔뼈가 굵었다.

 링지화의 몰락이 갖는 정치적 의미는 이러한 정치적 배경에서 비롯된다. 공청단은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이(上海)방과 함께 중국 공산당의 최대 계보다. 따라서 시 주석이 자신의 권력기반을 굳히는 과정에서 공청단은 반드시 넘어서야 할 산이다. 시 주석은 취임 초기만 해도 당내 기반이 약한 편이었다. 7명의 상무위원 가운데 왕치산(王岐山) 기율위 서기 이외엔 그의 정치적 맹우라 부를 만한 사람이 없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공청단 출신이고 나머지 상무위원들은 대체로 장쩌민 전 주석의 추천이나 영향력으로 발탁된 경우였다.

시 주석이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래 2년 동안 고위 간부 60여 명이 줄줄이 걸려들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호랑이라 불릴 만한 사람은 저우융캉 전 상무위원과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군부 2인자)이다. 두 사람 모두 범 장쩌민 계열의 인맥으로 분류된다. 상하이 총서기를 지내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직후 당의 대권을 잡은 장은 쩡칭훙과 황쥐(黃菊) 등 상하이 시절의 부하들을 중앙정계로 끌어올려 파벌을 형성했다.

또 장쩌민의 집권기간 동안 함께 일했거나 발탁된 간부들도 상하이방과 함께 인맥을 이뤘다. 장은 이를 통해 퇴임 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며 ‘태상황’으로 불려 왔다. 실은 시 주석이 대권을 쥐는 과정에서도 장쩌민 인맥인 쩡칭훙 전 부주석이 막후에서 큰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저우융캉 조사설이 나돌 때만 해도 ‘설마 잡아들이기야 하랴’며 반신반의하는 기류가 강했다. 이를 뒤집고 저우를 제물로 삼음으로써 장쩌민 파벌을 약화시키고 시 주석은 1인 권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었다.

“편하게 잠들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
그 뒤 남은 세력은 공청단이다. 3년 뒤인 2017년 19차 당대회에선 상무위원 7명 가운데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를 제외한 5명은 물러나야 한다. 이른바 ‘육상칠하(六上七下)’, 즉 68세면 물러나야 하는 공산당의 내부 규칙 때문이다. 이 다섯 자리를 놓고 경합 중인 유력 인물 가운데 공청단 출신으론 리위안차오(李源潮) 부주석과 왕양(汪洋) 부총리, 후춘화(胡春華) 광둥성 서기가 있다. 특히 후춘화는 쑨정차이(孫政才) 충칭시 서기와 함께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 포스트 시진핑을 넘보는 주자다. 만약 이 세 사람이 모두 상무위원이 되면 리커창 총리와 함께 7석 중 4석을 공청단이 차지하게 된다. 이런 상황은 시 주석으로선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 주석은 그전에 권력을 자신에게 집중시키고 정치적 카리스마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굳이 공청단 출신을 배척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영향권 안으로 끌어안거나 정치파벌로서의 응집력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성역 없는 반부패 전쟁이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역사학자이자 정치분석가인 장리판(章立凡)은 “편하게 잠들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며 “반부패는 본질적으로 권력투쟁”이라고 말했다. 공청단 출신의 현직 간부 링지화를 실각시킨 것을 두고 3년 후의 집권 2기를 내다본 포석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