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컷오프 장난하나" 당원들 난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새정치민주연합 평당원협의회 당원들이 15일 당 대표회의실에 난입, 지도부와 면담을 요구했다. [김형수 기자]

내년 2월 새정치민주연합 전당대회를 앞두고 내홍(內訌)이 깊어지고 있다. 전당대회 룰 확정을 놓고 계파간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한데다 일부 당원들이 항의 차원에서당 대표실을 점거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새정치연합은 15일 오전 9시로 예정됐던 비상대책위원회의를 30여 분 늦춰야 했다. 새정치민주평당원협의회(회장 임홍채) 소속 당원 20여 명이 비대위를 앞두고 당 대표실과 회의실장에 난입하면서 문희상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원들이 들어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구민주계 소속 당원이 주축인 이들은 회의장 앞에서 “컷오프(예비경선) 장난해? 꼼수 통합하더니 이번엔 당을 말아먹으려고 하냐”며 고함을 질렀다. ‘전 당원 투표로 결정하라’는 플래카드도 내걸었다.

문 위원장은 이들이 소란을 벌이자 “향후 면담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불편한 심기는 감추지 않았다. 문 위원장은 소란 직후 열린 비대위에서 “참 송구스럽다”면서도 “(반대의사를 밝힐) 자유가 있지만 발언에 대한 책임도 따르는 법이다. 오늘 사태에 대한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는 이날도 최종 룰 확정에 실패했다. 윤관석 수석사무부총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내년 1월 7일 예비경선을 통해 대표 후보 3인, 최고위원 후보 8인으로 좁혀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선거인단 구성비율은 합의하지 못해 18일 오전에 다시 전준위 전체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당·대권 분리를 ‘대통령 선거일 1년 전에 한다’고 정하는 등 대부분의 원칙엔 합의를 이뤘지만 가장 민감한 부분인 ‘선거인단 비율’ 문제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선거인단 비율은 ‘권리당원·대의원·일반당원(국민)’의 비중을 어떻게 둘 것이냐의 문제에 각 계파별 셈법이 다르다. 문재인 의원과 가까운 전해철 의원은 전준위에 일반 당원 비중이 큰 3:4:3을 안으로 제시했다. 전 의원은 2012년 대선후보 결정 당시 모집했던 37만 명을 경선참여선거인단(시민명부)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당내 기반이 탄탄한 정세균계는 대의원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원욱 의원이 제시한 3:5:2 안이 대표적이다. 비노진영인 최원식 의원은 5:3:2 안을 제시해 권리당원과 대의원 비중을 80%로 높이는 것이 ‘당원 주권주의’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글=이지상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