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는점' 가르치려 뚝배기에 라면 끓이며 실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울산 연암중은 지난해 2학기부터 1학년 대상 자유학기제를 시행 중이다. 제도 시행을 앞둔 지난해 초부터 1학년 담당 모든 교과 교사들이 매주 한 차례 머리를 맞댔다. 각 과목 교과서에서 연관되는 항목을 끄집어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해서였다.

 교사들은 고민 끝에 ‘플립북’(Flip book)을 수업에 도입하기로 했다. 한 장 한 장 그림을 그려넣어, 연속해 넘기면 만화처럼 보인다. 학생들은 국어시간에 배운 소설 줄거리를 플립북에 옮긴다. 이 플립북을 가지고 도덕시간엔 주인공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은지를 토론하고, 과학시간엔 힘의 원리를 배웠다.

 이 학교 교사들은 ‘끓는점’을 가르치려고 학생들과 뚝배기에 라면을 끓이는 실습을 하기도 했다. 곽현숙 연구부장은 “아이들이 수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만들려면 교사들이 보통 때보다 두 세 배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 변화에는 교사의 역할이 핵심이다. 자유학기제에 참여 중인 교사들은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연구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끼리 수시로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 연희중 교사들은 체험활동을 각 교사가 가르치는 과목과 연계해 내실화했다. 미술교사는 공항에 표시돼 있는 다양한 그림문자(픽토그램)를 보면서 디자인에 대해 배우도록 했다. 국어·역사 교사는 독도체험관을 찾은 학생들에게 독도 사랑을 표현하는 ‘플래시몹’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게 했다. 황유진 연구부장은 “체계적인 활동을 위해선 교사가 사전 답사를 하고 ‘활동지’도 마련해야 한다”며 “정성을 들인 만큼 아이들이 호응하는 게 느껴져 교사도 만족하게 된다”고 말했다.

신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