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금융 받은 건설업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부는 앞으로 구제금융을 받았거나 정부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해외건설업체에 대해서는 회사가 정상화 될 때까지 해외공사 도급허가를 내주지 않기로 했다.
또 해외건설공사의 내실화를 위해 지금까지 수주고 위주로 해오던 해외건설 정책믈 수익성위주로 바꾸고 손실예상공사 및 부실공사에 대해 전담기구를 설립, 집중 관리함으로써 손해를 보지 않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김종호 건설부장관은 18일 기자회견을 갖고 해외건설의 가장 큰 문제는 부실 및 적자공사라고 지적, 구제금융을 받았거나 정부지원이 없이는 지탱하지 못할 업체들은 해외공사를 견실하게 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제재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제재방안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익성문제에 대해 김 장관은 해외공사에서 손해를 보면 자연히 회사재무구조가 흔들려 도산할 위험이 있고 국가경제 적으로도 피해가 크므로 정부는 손해보는 공사를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업체도 이런 일이 없도록 자제해 줄 것을 간곡히 당부했다.
김 장관은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 해외공사가 중동에 치우쳐 최근의 오일달러감소와 자국 화 정책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 건설외교와 업계의 노력을 통해 시장을 넓혀 가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올해 조성되는 해외건설진흥기금(75억 원)을 활용, 해외건설기술개발에 투자하고 옹역 진출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