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올림픽 정식종목 존속 유력

중앙일보

입력

[마이데일리 = 미국 세인트루이스 김용철 특파원] 태권도의 올림픽 존속 여부가 8일(한국시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117차 IOC총회에서 결정된다.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남기 위해서는 116명의 IOC위원중 59명 이상의 지지표를 받아야 하며 현재로서는 매우 낙관적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IOC총회에서 태권도의 퇴출 여부가 언급되는 이유는 2004년 IOC총회에서 하계 올림픽 규모를 28종목에 참가선수 1만500명으로 제한한 이래 여러 신규 종목들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 위한 각국의 이해관계가 맞물렸기 때문이다.

현재 올림픽 정식 종목 중 비인기 종목으로 분류되는 태권도, 야구, 근대5종, 수중발레 등 종목들은 골프, 가라테, 럭비, 롤러스케이팅, 스쿼시 등으로부터 끊임없는 도전을 받아왔고 이번에도 여러 언론에 퇴출 여부가 언급되며 위기감이 고조되기도 했다. 다행스럽게도 현재의 28개 정식 종목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 그대로 존속한다는 것이 대세다.

그동안 우슈, 볼링, 검도 등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을 위해서 나름대로 노력했었지만 정식 종목을 퇴출하고 새로 진입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았고, 기존의 종목들이 이미 거대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어 단기의 흥행이나 시청률만을 무기로 상황을 역전시키는 것은 역부족이었다.

또한 IOC총회가 열리고 있는 싱가포르나, IOC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 현지에서는 퇴출 후보 종목으로 태권도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비치 발리볼, 수중발레, 양궁, 소프트볼, 야구 등이 더욱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 실제로 이들은 미국과 중남미, 아시아 일부에서만 인기기 높은 것으로 확인됐고 흥행 성적도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야구의 경우, MLB에서 올림픽에 메이저리그 선수를 차출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그 입지는 더욱 불안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야구 역시 2012년 올림픽에는 존속할 가능성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태권도가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비관적인 분위기에 젖기도 했던 우리에게는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기도 하지만, 앞으로 태권도가 적극적인 룰 개정을 통해 보다 흥미로운 스포츠로 새로 태어나지 않는다면 매번 IOC총회 때마다 이번과 같이 '귀에 거슬리는' 소식이 계속해서 들려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 <김용철 특파원 yckim@mydaily.co>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