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특약 이용 맞춤형 설계가 관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최근 대기업 과장으로 진급한 이모씨(35)는 아내(32)와 아들(3)을 두고 있다. 이씨의 연수입은 세후 3000만원이며 생활비는 본인의 용돈을 제외하고 월 100만원 정도를 쓰고 있다. 시가 2억5000만원짜리 아파트를 가지고 있으며 주택과 관련하여 5000만원의 대출이 있다. 대출금 상환 계획은 5년 후에 일시 상환할 예정이다. 이씨는 만약 본인이 사망할지라도 부인이 일을 하지 않고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보험 가입을 검토 중이다. 이 때 이씨에게 1순위로 추천할 만한 상품은 종신보험이다.

이제 종신보험은 우리나라 보장성 보험의 대명사가 됐다. 종신보험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보다 피보험자의 사망에 대한 보장기간이 평생이라는 점과 사망의 원인에 관계없이 보장한다는 것과 다양한 특약을 이용하여 고객의 재무적 상황에 맞춘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씨의 예를 들어 종신보험 가입 요령에 대해 알아보자.

이씨가 사망할 경우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자금들은 유가족 생활비, 부채 상환자금, 그리고 자녀 교육 자금일 것이다. 이씨 가정에 필요한 이들 자금의 합계는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총 4억5000만원 정도로 계산된다.

이는 유가족 생활비로 월 100만원×25년을 계산해 총 3억원과 부채 상환 자금 5000만원, 자녀 교육비 총 1억원 등이다.

만일 이씨가 필요한 보장 금액을 종신보험 주계약(평생보장)으로만 설계한다면 20년간 55세까지 매월 납입해야 할 보험료는 68만원 정도다. 월급생활자로서 상당한 부담이 되는 금액이다. 이럴 경우에 이씨 가족의 생애 주기에 맞는 특약을 활용하면 보험료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이씨에게 권할 만한 사망보장 특약은 정기특약과 가족 수입 보장 특약이다.

정기특약은 보장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 내에 사망할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하는 특약이다. 예를 들어 보장기간 60세, 보험 가입 금액 1억원의 정기 특약을 설계한다면 피보험자가 60세가 되기 전에 사망하였을 경우에 1억원을 일시금으로 지급한다. 정기 특약은 주로 자녀 교육 자금이나 부채 상환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특약이다.

가족 수입 특약 역시 정해진 보험 기간 동안만 보장을 해주는 특약인데 정기 특약과는 지급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보험 가입 당시 35세였던 피보험자가 보장기간 60세, 보험 가입 금액 1억원의 가족 수입 특약에 가입하고 45세에 사망한다면 피보험자의 연령이 60세가 되는 15년간 매월100만원(1억원×0.01)의 보험금을 15년간 가족들에게 지급한다.

가족 수입 특약은 유가족의 생활비 용도에 적합한 특약이다. 만약 수익자가 일시금으로 수령을 원하면 보험 회사에서 정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이씨에게 권유할 만한 종신보험 사망보장 설계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 교육 자금 용도로 종신보험 주계약 (보험금 5000만원, 보장기간 평생)과 정기특약 1 (보험금 5000만원, 보장기간 60세)을 들면 바람직하다. 이경우 60세까지 1억원의 보험금이 보장되며 60세 이후부터 평생 5000만원이 보장된다.

또 부채 상환 자금 용도로 정기특약 2 (보험금 5000만원, 보장기간 5년), 가족 생활비 용도로 가족 수입 특약(보험금 매월100만원, 보장기간 60세)등의 가입을 권유할 만하다.

최문희 IFPK㈜ 지점장

중앙일보 조인스닷컴 추천보험 바로가기!

(조인스닷컴 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