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부산의 '교육혁명'과 일본의 '이튼스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일본의 세계적인 기업 도요타자동차가 영국의 이튼스쿨을 본떠 가이요 중등교육학교를 만들었다. 서울시교육청은 2008년 3월 서울 종로구에 국제고를, 구로구에 과학고를 각각 설립한다. 부산시교육청은 무학년 수준별 보충수업과 학습 부진아를 위한 대학생 교사제,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프로그램, 제2외국어 대학 위탁 교육, 독서교육 지원 시스템을 실시 중이다.

평준화 교육으로는 국가의 미래가 없다는 절박감 아래 민간과 교육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여 '교육혁명'을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획일적인 평등주의의 교육정책을 고수해서는 세계화 시대에 국가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특히 경제 선진국인 일본의 기업체가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차세대 인력을 직접 키우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깨달아야 한다. 국가의 장래는 각 분야를 주도할 인력이 질적으로 얼마나 우수하냐에 달려 있다. 자연히 이런 인재를 어떻게 키울 것이냐가 국가.사회 전체의 화두가 돼야 한다.

개인.지역.학교 별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초.중.고 평준화 제도로는 우수한 인재가 나올 수 없다. 평준화라는 말 자체가 그렇듯 평균적인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이다. 그러한 평균인은 좋은 시민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사회를 이끌고 가는 엘리트는 될 수 없다. 한 명의 천재가 10만 명을 먹여살린다고 하지 않는가.

평준화 체제를 고집하는 현 정부 하에서 교육의 변신을 기대하기 힘들다. 서울시.부산시교육청처럼 다른 시.도 교육청이 모두 나서 교육자치권을 행사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평준화의 실시.해제는 물론 고교 신설 결정권을 쥐고있는 교육감이 사심없이 능력과 권한을 발휘해야 한다. 우수한 학생은 더욱 더 잘하게, 지진 학생은 보강학습을 실시하는 독창적인 수월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특목고와 자립형 사립고를 확대하고 기업이 인재 양성을 위한 학교 설립에 나설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허용해야 한다. 평등을 외치는 전교조와 시민단체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