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시진핑 반부패 정책, 한국에서도 많은 공감"

중앙일보

입력

중국을 방문중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4일 오전 베이징 만수호텔에서 열린 새누리당과 중국 공산당의 정당정책대화에서 “시진핑 주석이 취임후 성역없는 반부패 정책을 펴고 있는데 매우 시의적절한 어젠다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행사 인사말에서 “한국 국민들 사이에서도 시 주석의 정책은 많은 공감과 존경을 받고 있다”며 “중국 공직자의 특권으로 불렸던 관용차ㆍ접대비ㆍ출장비의 ‘3공(公)’이 지난 1년간 530억 위안(약 9조원)이나 절감됐다는 건 대단한 성과”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시 주석의 부패척결 노력처럼 새누리당도 보수혁신특위를 설치해 변화와 혁신에 나서고 있다. 저도 중국에 올 때 이코노미석을 이용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1970년대 홍콩과 싱가포르의 반부패 운동은 경제성장으로 이어졌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한국과 중국에 ‘반부패와 법치’가 자리잡을 수 있는 건설적 방안을 모색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문수 보수혁신특위 위원장은 행사 기조발제에서 “반부패의 경험과 노하우를 일상적으로 공유하고 더 좋은 실천 방안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중국 공산당과 새누리당이 함께 ‘반부패연대기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중국의 반부패운동이 시진핑 주석과 중국 공산당의 지도아래 크게 성공해 세계적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믿는다”며 이처럼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보수혁신특위의 활동내용을 소개하며 “국민들의 소득수준과 국회의원들이 하는 일의 보상을 넘어서는 과도한 歲費(세비)를 줄이는 등 국민의 눈높이까지 정치인의 특권을 내려 놓는 혁신 작업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불체포특권 폐지, 출판기념회 금지에 이은 국회의원 특권포기 시리즈 3탄이다. 이와관련 김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국회가 공전상태일 때 의원들의 세비지급을 중단하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정하 기자 wormho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