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의혹' 검찰 수사 발표] 관련자들 잇단 말바꾸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유전개발 투자 의혹 사건은 지난 3월 감사원이 철도공사(옛 철도청)를 특별 감사하고 있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언론과 한나라당은 이광재 의원의 개입설을 집중적으로 제기, 국민적 관심을 끌었다.

4월 13일 감사원 의뢰에 따라 수사에 나선 검찰은 총 64명의 수사팀을 꾸려 강도 높은 수사를 벌였다. 그러나 수사는 초기부터 관련자들의 잇따른 말 바꾸기와 거짓말로 혼선을 빚었다.

이광재 의원은 4월 초 개입 의혹이 불거지자 취재진에게 보낸 e-메일에서 "석유 전문가 허문석씨를 전대월씨에게 소개하면서 전화번호만 줬다"며 "전씨와는 잘 모르는 사이"라고 무관함을 주장했다.

그러나 검찰 조사 과정에서 이 의원은 "(전씨를) 지난해 3~10월 강원도 평창과 서울 등에서 모두 6번 만났고 이중 2번은 의원실에서 만났다"고 진술을 바꿨다.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당초 "철도청으로부터 사업 추진에 대해 들은 바 없다"고 했으나 검찰 소환 이후 "지난해 9월 국회에서 신광순 철도청장 등으로부터 보고를 받았다"고 번복했다.

김세호 전 건설교통부 차관 역시 감사원 조사 때는 "사업 추진에 대해 보고받은 바 없다"며 개입 사실을 완강히 부인했다. 그러나 검찰 조사 결과 김 전 차관은 지난해 8월 철도청장 시절 부하직원들에게 유전개발 사업을 청와대와 건교부에 보고하게 하는 등 적극 가담한 사실이 밝혀졌다.

철도공사는 검찰 수사에 대비해 유전개발 사업 관련 컴퓨터 파일 51개를 삭제하고, 왕씨의 청와대 출장 보고서 등을 숨기기도 했다.

검찰은 모두 21명을 출금금지했고, 이광재 의원의 의원회관 사무실 등 24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소환자 수는 140여 명에 달했다. 이광재 의원의 후원회장인 이기명씨를 비롯해 황영기 우리은행장과 이희범 장관,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이현재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등도 조사를 받았다. 50일간의 수사는 총 10명을 사법 처리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김종문.김현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