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락30%도 4학년까지 진급|대학수료증 받을 수 있게 완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문교부의「학년별 탈락율 자율화」조치는 졸업정원제운영의 경직성에 따른 부작용을 약간은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년수료」「3년수료」보다는 학사증은 받지 못하더라도「4년수료」가 그만큼 학생들에게 주는 압박감은 덜하기 때문이다.
문교부의 이번 조치는 졸업정원은 초과해 입학시킨 30%중 3학년말까지 20%이상을 탈락시키고 30%이내만 4학년 수료증을 줄 수 있던 제한을 풀어 30%전원을 4학년까지 수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내년말로 다가온 18%강제탈락을 2년 연기한 셈이다.
이 같은 문교부의 조치는 실시1년을 지나는 동안 졸업정원제에 의한 강제탈락이 대학에서 갖가지 부작용을 빚고있다는 지적 <관계기사7면>에 따른 것 같다. 특히 지난5일 카운슬러자격으로 이대에 모인 전국세계대학교무처장·학생생활지도연구소장등은 대학교육의 파행운영은 물론 교수·학생간에 불신감이 번지고 학생들 사이에 정신질환이 번질 우려도 있다고 지적, 개선안을 마련해 문교부에 건의하겠다고 나설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권정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