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와 의사는 만나야 합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원격의료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재천명하며 불참 의지를 확고히 했다.

의협 비대위는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원격의료의 불안전성과 위험성을 거듭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정부는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의료계는 전문가 단체인 의사집단과의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다며 올 3월 휴진투쟁을 벌이는 등 강력하게 반대해왔다.

현재 의협 비대위를 중심으로 의협 집행부, 대의원회, 16개 시도이사회 등은 원격의료 절대반대의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원격의료가 미래 신 성장동력의 주요 정책으로 추진을 강행해오고 있다.

이에 의협 비대위는 원격의료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의료전문가의 입장에서 짚고 넘어가야겠다며 이번 기자회견을 자처했다.

우선 원격의료는 오진과 의료사고의 위험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의협 비대위는 “기침을 하는 환자를 보더라도 감기인지, 폐렴인지, 폐결핵인지, 혹은 폐암인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만나 청진을 해야한다. 또 열이 나고 구토를 하는 소아 환자가 있을 때 감기나 단순한 구토 증세가 있는 것과 뇌수막염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면진료에서조차 감별진단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원격으로 진단하는 것은 너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현실에서 컴퓨터 모니터와 스마트 폰으로 진단과 치료를 하라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보안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의협 비대위는 “금융권의 최첨단 보안시스템조차 정보 유출을 막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가장 은밀하고 중요하게 보호되어야 할 개인 질병 정보의 대량유출을 어떻게 막겠는가”라며 “환자의 치료 경력, 성병, 정신질환 등 민감 정보가 거래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지난 9월부터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시범사업 또한 신뢰도가 의심받고 있다.

의협 비대위는 “고작 6개월, 불과 6곳의 의원과 5곳의 보건소에서 실시한다는 엉터리 시범사업의 결과를 어떻게 믿겠는가”라며 “ 전 세계 어느 나라 의사회도 전문가적인 양심을 걸고 이런 부실하기 짝이 없는 시범사업을 받아들여 참여할 곳은 아마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11만 한국의사들은 전문가로서의 양심을 걸고 엉터리 원격의료 시범사업 및 부실 불안 불통의 원격의료 정책에 결코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인기기사]

·“햇빛이 망가뜨리는 피부노화도 치료할 수 있습니다” [2014/10/06] 
·[포커스]진료비 늘고 환자수 줄고, 평균재원일수는 OECD1위 [2014/10/05] 
·No.309 병원경영 '초비상'? 진료비 늘고 환자수 줄고... [2014/10/06] 
·어린이용 치약의 ‘발암물질’ 허용기준이 구강티슈의 20배? [2014/10/06] 
·“환자와 의사는 만나야 합니다” [2014/10/06]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