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이주 공무원 19% ‘나 홀로 이주’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세종시로 이전한 정부부처 공무원의 19%,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직원의 75%가 ‘나 홀로’이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경기 고양덕양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세종시 공무원 이주계획 전수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 1만788명 중 혼자 이주했다는 응답이 19%, 이주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퇴근 예정이라는 응답이 15%로 나타났다.

전수조사는 국무총리실에서 지난 4월 시행했으며 조사 대상은 세종시로 이전했거나 이전 예정 부처의 공무원 1만1691명이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1만788명의 85%(9170명)가 세종권으로 이주했거나 향후 이주 예정이며, 15%(1618명)가 이주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퇴근하거나 향후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 “효과적인 유인책 더 필요”

이주형태로는 가족 모두가 75.8%, 일부 가족 5.2%, 본인만 이주 19%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본인만 이주한 경우 지난해 보다 4.5% 증가했다. 특히 나홀로 이주해 주말에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공무원도 16.1%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이전하지 않는 이유로 배우자 등 직장 문제 31.3%와 자녀교육 31.2%을 우선으로 꼽았고, 퇴직 예정 및 파견 복귀 등 인사상 사유가 16.3%로 그 뒤를 이었다. 이주 지역은 세종시 69.5%(4673명), 대전시 23.7%(1596명), 충북 4.7%(315명), 충남 2.1%(141명) 등이다.

세종시 이주자의 81.3%는 아파트를 선하고, 그 다음으로 독신용 주택(15.7%)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60~85㎡ 39.4%, 60㎡ 이하 28.9%, 85~102㎡ 24.1% 등이며, 점유 형태는 자가 51.5%, 전세 21.8%, 월세 15.7%, 임대주택 8.5% 순이다.

자녀가 있는 공무원 7097명 중 세종시 이주(얘정) 때 자녀를 동반한 공무원은 52.2%인 3711명으로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도권에서 출·퇴근 중인 공무원은 1806명(21.4%)이다.

특히 수도권 대비 삶의 질에서 불만적스럽다는 응답이 75.4%, 대중교통 불만 68.4%, 교육 불만 45.3%, 주거불만 42.8%에 달했다. 김태원 의원은 “나홀로 이주가 계속된다면 지역균형발전을 이루자는 취지를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다”며 “이주 공무원의 선호도와 애로사항을 적극 추진해 정주 요건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