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성복 표준치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기성복이 대중화 되면서 우리나라에도 통일된 기성복 치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공업진흥청이 지난 79년 9월부터 80년 6월까지 전국 18만명을 대상으로 조사, 결정한 의류표준규격은 앞으로의 기성복 치수통일을 유도하고 있다.
남성용·여성용·아동용으로 나누어 정해진 기성복 치수에 대해 알아두자.

<남성용의류>
신사복 상의의 경우 3백32호·5백55호·8백99호등 총 81개의 호칭으로 하고 표시 부위로 신장·가슴둘레·허리둘레를 정하였으며 이 부위에 대한 자기 치수를 알면 몸에 맞는 옷을쉽게 선택할 수 있게 했다.
호수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5백55호로 신장이 1백67.5∼1백72.5cm, 가슴둘레 89.5∼92.5cm, 허리둘레 77.5∼80.5cm의 계층이다.
와이셔츠는 23호·35호·75호등 총 41개의 호칭으로 제정하고 표시부위는 목둘레 및 화장으로 했으며 목둘레의 범위를 34∼43cm로 하여 1cm 간격으로 등급을 선정했다.
정장용 코트는 신체 치수의 신장·가슴둘레를 기본부위로 하고 제품치수는 가슴둘레와 고트길이를 기본치수로 하여 34호부터 86호까지 24개 종류로 나누었다. 가장 대중적인 것은 55호로서 신장 1백67.5∼1백72.5cm, 가슴둘레 89.5∼92.5cm의 계층이다.

<여성용의류>
숙녀복상의·원피스·드레스·블라우스·코트등은 신장 및 가슴둘레를 기본치수로 하고 43호부터 89호까지 15종류로 신장 1백47.5∼1백72.5cm, 가슴둘레 77.5∼98.5cm까지 입을수 있도록 했다.
호수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55호로서 신장 1백52.5∼1백57.5cm, 가슴둘레 83.5∼86.5cm 의 계층이다.
스커트는 신장 및 허리둘레를 기븐부위로 제품치수는 허리둘레를 기본치수로 하여 43호부터 89호까지 15종류로 하여 신장 1백47.5∼1백72.5cm, 허리둘레 63∼77cm까지 입을 수 있도록 마련하고 있다. 호수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55호로서 신장 1백52.5∼1백57.5cm, 허리둘레 67∼69cm의 계층이다.

<아동용의류>
아동복은 아동의 나이에 대응하는 신체치수에 따라 3호는 3∼4세용, 5호는 5∼6세용으로하고 9세부터 14세까지는 일련번호 순으로 하여 9세용은 9호, 14세용은 14호용으로 호칭을 정했다.
아동용 바지는 신장 및 허리둘레를 기본부위로, 허리둘레 및 바지길이를 기본치수로 했으며 3호부터 14호까지 9종류로 구분하여 신장 1백2.5∼l백57.5cm 허리둘레 50∼63cm까지 입도록 마련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