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권고사직」이 부쩍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해마다 근로자의 이직률이 높아지고 재취업률이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엔 특히 고용주의문책으로 일자리에서 물러난 이른바「근로자의 귀책(귀책)해고」가 전년도에 비해 1백8배(3월 한달기준)나 늘어났다. 이 같은 현상은 경기가 78년을 고비로 내리막 길을 치닫자 각 기업들은 감원이 불가피 했고 종전까지 묵인되던 근로자의 사소한 잘못도 책임을 물어 사직시켰기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지적되고있다.
이는 노동부가 최근 발간한「노동력유동실태조사 보고서」에서 밝혀졌다.<별표참조>
노동부가 지난해 3월 한달간을 기준으로 전국 10인 이상 고용업체 중 3천8백65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직률은 77년3월 3·9%이던 것이 80년3월엔 5·5%로 늘어난 반면, 재취업률은 80·1%이던 것이 41·2%로 절반정도 떨어졌다. 특히 이직 근로자중 장기결근, 회사에 대한 재산상의 손실 등의 이유로 의사에 반해 직장에서 물러난「근로자 귀책해고」는77년 4·2%, 78년 5·2%, 79년 0·6%에서 80년에는 64·8%로 12∼1백8배나 늘었다.
해고된 근로자를 학력별로 보면 국졸이하 7l·9%, 중졸 67·6%, 고졸 57·6%, 전문대졸 55·4%, 대졸61·2%로 학력간의 차가 15%안팎. 중졸이하는 주로 생산직이고 대졸이상은 사무직이라는 검을 비추어 볼 때 해고가 전 직종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의원퇴직은 77년3월 93%, 78년90·3 %, 79년 95·3%이던 것이 80년3월엔 17·7%로 크게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79년의 두차례 유가인상과 지난해 초석유제품 가격인상에 따른 국내수요의 감퇴, 해외수출여건의 악화 등으로 취업의문이 좁아져 근로자 이동이 둔화됐음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조사기간 중 직장을 얻은 근로자 14만5천3백85명중 지연·혈연등 연고에 의한 취업은 56%인 8만1천3백96명으로 79년의 62·2%, 78년의 57·3%, 77년의 62·4%에 비하면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의 강당수가 전근대적인 인사관리를 하고있음을 나타냈다.
또 공개채용은 38·7%로 79년의 33%보다는 5·7%가 늘었으나 76년의 41·3%보다는 2·6%가 줄어 경기와 공개채용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