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해체 과정 석연치 않아” vs “시장 신뢰 잃은 기업 퇴출 당연”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90호 08면

신장섭 교수는 대우 해체와 관련해 세 가지 의문을 제기했다. 우선 그룹 해체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미국 GM과 대우자동차 간의 협상에 대해 당시 정부 관계자들이 “(대우 측이) 조건을 바꿔 가며 질질 끌다가 1998년 7월에 협상을 깨고 말았다”고 주장하는 부분이다. 김우중 전 회장은 지금도 협상이 깨진 적이 없다고 믿고 있다. GM과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협상을 깨면 상대방에게 통보한다’고 돼 있는데 한 번도 통보받은 적이 없다는 것이다. 합작 협상 자체도 대우가 다급해 제안한 게 아니라 중국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GM이 소형차 노하우를 얻기 위해 먼저 제안해 왔다고 회고한다.

논란 여전한 대우그룹 퇴출

전 대우그룹 사옥

정부가 ‘대우차의 기술력이 없어 자립이 어려웠다’고 본 부분도 근거 없는 판단이라고 주장한다. GM이 99년 12월 보냈다는 인수의향서에서 ‘50억~60억 달러의 기업가치, 보완성과 시너지와 관련한 대단한 기회’라고 적시했다는 것이다. 나중에 중국에서 GM이 대우차 모델을 그대로 가져가 판매 1위에 오른 걸 보면 기술력이 없다는 것은 선입견 내지 잘못된 판단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당시 정부 관계자들은 모두 “당시 GM이 제시했다는 인수의향서를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강봉균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 98년 10월 김대중 대통령과 김 전 회장의 면담을 앞두고 올린 접견자료에서 ‘대우의 차입금이 19조원 늘었다’고 보고한 부분도 문제를 삼는다. 수출금융을 막아 버려 단기차입금 16조원이 늘어난 것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강 전 수석은 “대우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불거진 98년 상반기부터 6개월간 김 전 회장을 20여 차례나 만났다. 그때마다 김 전 회장은 ‘금융회사를 통해 지원해 달라’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말했다. 또 “대우를 구제하는 것은 관치금융의 부활인데 전혀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밝혔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