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도 일하고 싶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노인들은 일을 원한다. 최근의 한 조사보고에 의하면 한국노인의 99%가 생활에의 보탬, 용돈조달 등을 위해 취업을 희망하고 있지만 사회와 국가의 무관심으로 그들은 경제적·정서적으로 소외계층화 되고 있다.
대한 노인회(회장 박재간)는 이러한 한국노인의 현실을 진단하고 그 타개책을 모색키 위한 세미나를 7일 상오 서울 효창동 동회 강당에서 가졌다.
『노인문제와 당면과제』를 주제로 하고 가족부양·지역사회·인력활용·복지정책의 과제와 방향 등 모두 4개 부문으로 주제발표와 토론형식으로 진행된 세미나 중 참가자의 가장 많은 관심을 모았던 것은 인력활용.
핵가족이 비교적 단시일 안에 폭넓게 보급되어 노인부양이 어려워졌으면서도 연금제도 등 사회보장제도가 발전되지 못한 한국의 현실 때문이라는 것이 『노인과 인력활용』에 관한 주제발표를 한 김성순씨(서울시 보사국)의 얘기다.
서울시의 경우 81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21만6천명 중 보호가 필요한 노인은 3만9천여 명으로 이들 가난한 노인의 인력활용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고 김씨는 말했다.
정신적·육체적 기능저하에 따라 노인이 할 수 있는 직종은 불가피하게 제한될 수밖에 없지만 가벼운 단순노동, 서예나 동양화 기능전수, 가로수 관리, 사무직, 복덕방 등 자유업 등은 큰 무리 없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작업은 도시의 경우 노인단체나 시절 등을 이용한 집단취업 혹은 집단 도급제가 적당하리라는 것이 김씨의 얘기다. 지금은 도시에 살지만 농사 경험이 있는 노인들이 함께 일손이 달리는 인근 농촌에 가서 모내기·김매기 등을 하는 것도 필요한 일손보충과 노인소득을 위해 유용하리라는 것.
근본적으로 노인 인력활용을 위해서는 정년을 연장하는 현재의 고용정책 개선과 함께 직업 재훈련의 실시, 취업안내를 위한 조직적이고도 과학적인 연결사업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김씨는 주장한다.
직업훈련을 받아 노인들이 취업할 수 있는 직종으로는 전표정리·장부기장 등의 경리직, 통계 기장·우편물 봉투 쓰기 등의 사무 보조직 등이 있다. 그밖에 꽃이나 고등소채 재배, 인쇄·표구 등으로 다양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