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아직????…값도 보합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주 (구랍30일∼1월9일)전국주요도시의 물가동향은 신정연휴를 맞은데다 폭설과 강추위등으로 대체로 상거래는 한산한 편이었으며 값은 일부계절적인 상품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생필품들이 보합세를 보였다.
대한상의가 조사한 지난주 전국주요도시의 도매물가 동향은 다음과 같다.
◇곡물류=쌀값이 연초에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주말에는 수요가 늘면서 중품 (밀양23호) 80kg 한가마에 서울에서 1천원이 올라 5만원에 거래됐다.
콩·팥등 잡곡은 작년작황이 나빠 공급물량이 달리고 있다.
따라서 값도 서울에서 콩(흰색상품)이 75kg한가마에 6만3천원. 팥이 83·3kg한가마에 8만5천원에 거래돼 각각 1천원과 2천원이 올랐다.
◇육란·어류=쇠고기·돼지고기값은 경락가격이 강세를 보였으나 소비자가격에는 변동이 없었다.
달걀값은 각급학교 방학등으로 수요가 줄어 특란 10개한줄에 서울에서 20원이 내린 4백원에 거래됐다.
생선류중 고등어값이 어획량감소로 입하량이 줄자 고등어 상품(1kg정도)이 마리당 서울에서1백10원이 오른 5백30에, 대전에서는 무려 3백원이 오른 6백30원에 거래됐다.
또 마른명태와 마른오징어도 입하량이 줄어 값이 올랐는데 서울에서 마른명태는 중급품6백마리에 2만원이 올라 14만원에, 마른오징어는 중품2백마리에 1만원이 올라 11만원에 거래됐다.
◇과실·채소류=사과가 반입량이 줄어 서울에서 국광상품 한상자당 1천원이 오른 5천5백원에 거래됐다.
배추와 무우는 연초에는 일기불순으로 반입량이 줄어 오름세를 보였으나 주말에 들어서는 날씨가 풀리면서 입하량도늘어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에서 배추상품 한포기에 1백50원이 내린 4백50원에, 무우상품 한 개에 20원이 내린 1백50원에 거래됐다.
◇공산품류=지난「12·17」가격인상조치가 있었으나 제값을 받지못하던「시멘트」·갱지·모조지등이 점차 고시가격에 육박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