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남북 고위급접촉 제의 직후 137억원 상당 대북지원 계획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가 북한에 추석 명절(9월 8일)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등을 논의할 고위급 접촉을 제의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2차 남북 고위급회담을 오는 19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하자는 통지문을 북한에 보냈다”고 밝혔다. 통지문에서 우리 측은 “이번 고위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쌍방의 관심사항을 논의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판문점 채널로 전달된 김규현 청와대 안보실 1차장 명의의 통지문은 북한 원동연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 앞으로 전달됐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청와대-국방위원회 간 첫 고위급 회담 때 양측 수석대표(북한은 단장으로 호칭)로 만났다. 당시 상호 비방 중단 등에 합의했으나 북한이 3월 말 합의를 사실상 파기했고, 잇따른 미사일 발사와 대남위협 등으로 남북관계가 대치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정부가 회담 날짜로 제안한 19일은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 합동군사연습 기간이다. 정부 당국자는 “교황 방한 직후로 날짜를 잡아 제안한 것”이라며 “북한이 편리한 시기로 수정 제안할 수 있다는 점도 통지문에 밝혔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북한이 화답하면 인천 아시안게임에 올 북측 응원단의 체류비용 지원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본지 8월7일자 5면 보도>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접촉이 성사되면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은 민관 합동 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 발족과 관련해 북측에 소상하게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통문 발송(오전 9시10분) 1시간20분 뒤 국제기구를 통한 1330만 달러(약 137억원) 규모의 대북지원 계획도 발표했다. 세계식량계획(WFP)에 아동·산모 영양지원을 위해 700만 달러, 세계보건기구(WHO)의 북한 모자(母子)보건 사업에 630만 달러를 남북협력기금에서 각각 지원한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