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영아파트 입주희망자가 모자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는 올해 무허가불량주택철거민 5천가구를 입주시키기 위해 서영「아파트」 5천가구를 건립하고있으나 주민들의 동의없는 무리한 철거를 할수없게돼 「아파트」분양이 차질을 빚게됐다. 이때문에 특별회계에서 조달하는 「아파트」건축비도 재대로 확보할수없어 내년부터는 시영「아파트」건축사업을 크게 축소하거나 사업을 중단해야할 처지이다.
서울시는 올해 무허가건물 철거목표량을 5천가구로 잡아 ▲강동구암사동에1천4백가구 ▲가락동에 3천6백가구등 모두 5천가구분의 시영 「아파트」를 지어 10월께 철거민들을 입주시킬 계획을 세웠으나 국보위의 지시에 따라 앞으로는 강제철거를 하지 못하게돼 올 목표량 5천가구의 철거가 어려울 것으로 보여「아파트」를 모두 분양할 수 없게됐다는 것이다. 현재무허가건물을 자진철거한 철거민은 모두2천여가구(목표의 40%)이며 철거민들에게「아파트」입주권이 주어져도 입주금을 마련하기 어렵고 경기침체에따라 시영 「아파트」입주권에 지금까지와 같은 4백만∼5백만원씩의 「프리미엄」이 붙을 것을 기대할수없어 자진철거민이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시관계자는 내다봤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총4백65억여원이나 들여 건설하는 시영「아파트」입주자확보책을 마련하느라 고심하고있다.
무허가주택 철거민을위해 신축한 시영「아파트」강제철거를 하지않게돼 입주자 확보가 어렵게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